平昌歷史 史觀定立 (55) 썸네일형 리스트형 판관대 세미나를 환영합니다 판관대 세미나를 환영합니다 후세백작 2019.11.03 22:19 오는 11월 22일 평창에서는 판관대의 문화콘텐츠 계발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한다. 우리 역사와 문화에 심사임당과 율곡에 관하여 평창으로 이 문화 콘텐츠를 계발함은 고무적인 일로 환영합니다. 우션 죄송합니다만 "문화 콘.. 팔석정의 역사사료의 고찰에 의한 제 연구 팔석정의 역사사료의 고찰에 의한 제 연구 후세백작 봉서 선생은 물의 가운데 신선들이 사는 땅에 취해 봉래蓬萊 영주瀛洲 방장方丈 이름을 붙였다 기록한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여덞개 바위에 석안石鞍 석귀石龜 석옹石瓮 석평 石枰 석두石竇 이름을 새겨 놓았으니 전해 오기를 율곡 이이 맏伯형 죽곡竹谷 선생이 노닐던 곳으로 물의 동쪽에 정자를 세웠는데 팔석정八石亭이라고 하였다그 후에 후손 이아산李牙山이 살다가 정자를 중수 하였는데 정자는 없고 글씨만 남았다고 ...죽곡竹谷 새긴 것인가 아산牙山이 새긴 것인가 알 수 없다 하였다 출처 : 병인.. 미탄 "육백마지기" 어원의 재고찰 육백마지기는 본인 이외에 모든 사람들은 볍씨 육백말을 뿌릴 공간이라 한다. 육백마지기에 어원은“육백 +마지기”의 합성어로 육백은 제자백가 시대에 풍수가의 음양오행설의 이론에 따라서 아홉별 중에 여섯째를 육백이라하며 금성을 말함이다. 육백마지기를 어느 농부가 산 넓의 공간을 볍씨 육백말을 뿌릴만한 공간이라 말할 수 있는가?? 이제는 내 말을 믿든 않믿든 맘대로 무식하게들 하시고..인터넷에서 백과사전 한번 찾아보시면.. ◆ 육백(六白) - 음양설에서 아홉 별의 하나인 금성을 이르는 말 ◆ 음양설 (陰陽說) - 음과 양의 이, 기를 우주 만물의 생장 변화의 근본 원리로 하는 설 ◆ 구성(九星) - 一白은 음양가에서 수성을 일컷는 말, 二惑은 토성, 三碧은 목성, 四綠 삼벽과 함께 목성을 일컷는 말. 五黃은 토.. 대상리 사지(岸井寺址)를 찾아서 대상리사지를 찾아서 지난 겨울에 정원대님과 동행하여 대상리사지 탑을 찾아갔다. 일명 안정말사지라는 대상리사지는 폐사지로서 지금 매매라고 붙여놓은 개인 주택이 사찰이었는지 알 수도 없었으며 다만 저 멀리 산자락에 방치된 탑재들만이 사찰이 있었슴을 알려준다. 그러기에 사.. 육백마지기 어원에 대한 문의에 답을 드립니다. 육백마지기 어원에 대한 문의에 답을 드립니다. 후세백작 육백마지기는 본인 이외에 모든 사람들은 볍씨 육백말을 뿌릴 공간이라 한다. 육백마지기에 어원은“육백 +마지기”의 합성어로 육백은 제자백가 시대에 풍수가의 음양오행설의 이론에 따라서 아홉별 중에 여섯째를 육백이라하며 금성을 말함이다. 육백마지기를 어느 농부가 산 넓의 공간을 볍씨 육백말을 뿌릴만한 공간이라 말할 수 있는가?? 이제는 내 말을 믿든 않믿든 맘대로 무식하게들 하시고..인터넷에서 백과사전 한번 찾아보시면.. ◆ 육백(六白) - 음양설에서 아홉 별의 하나인 금성을 이르는 말 ◆ 음양설 (陰陽說) - 음과 양의 이, 기를 우주 만물의 생장 변화의 근본 원리로 하는 설 ◆ 구성(九星) - 一白은 음양가에서 수성을 일컷는 말, 二惑은 토성, 三碧은.. 평창이여 .. 정말 어디로 가시나이까.. 평창이여.. 정말 어디로 가시나이까.. 2018년 10월 8일 '평창신문'의 기사를 인용합니다. * 임진왜란 당시 권두문 군수가 지사함. 이인서, 우응민등과 합심하여 왜적과 맞서 싸운 격전지이다. * 이후 그곳에 성황당이 세워져 군민의 안녕과 백의의병의 넋을 비는 성황제로 이어졌고~중략. * 매.. 우통수(于筒水)는 한강의 발원지임에 변함이 없다. 우통수(于筒水)는 한강의 발원지임에 변함이 없다. 후세백작 오대산 상원사에서 중대 사자암으로 오르다 보면 왼쪽으로 자그마한 길이 하나있다. 이 길을 따라 40여분쯤 올라가면 해발 1,200m 지점에 조그마한 우물이 있는데 이것이 한강의 발원지인 우통수(于筒水)이다(평창 우통수, 강원도 기념물 제88호) 우통수는 한중수(漢中水) 또는 강심수(江心水)라 불리기도 하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된 우동수(于洞水)가 지금의 우통수로 변화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우통수는 현재까지도 우물은 마르지 않고 있다. 속리산 삼파수, 충주 달천과 함께 조선의 3대 명수로 전해진다. 땅 속에서 솟아오르는 샘물의 형태가 아니라 암석에 생긴 절리를 따라 주변 바위에서 흐르는 물이 고이게 되면서 우물이 생겨났다. ******.. 평창에 남겨진 역사과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평창의 역사방관 고발 (평창에 남겨진 역사과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 가리왕산 碑 가리왕산은 발왕산에서 발원하여 차령산맥으로 이루는 해발 1560m로 백두대간의 지붕으로 평창군과 정선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옛날 맥국(貊國)의 가리왕(加里王)이 이곳에 피난하여 성을 쌓고 머.. 평창경찰서 오층석탑의 설명 『조선고적도보』의 동북 5층탑과 평창경찰서 5층탑의 비교이해 후세백작 2018.07.13 21:07 ◆『조선고적도보』의 동북 5층 석탑 위 사진은 일본 건축사학자 세키노 다다시가 1915년 강원 중부권을 다녀가며 원 주 흥법사지, 거돈사지, 법천사지와 평창읍의 유동리 동남 오층석탑과 동북 오층.. 『조선고적도보』로 보는 평창읍 유동리 5층 석탑과 동북 5층 석탑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평창읍 유동리 5층 석탑과 동북 5층 석탑 후세백작 2018.07.09 18:08 1. 유동리 5층석탑 左)『조선고적도보』의 평창읍 서남 오중석탑 右) 연재의 유동리 오층석탑 이 탑은 동일한 탑으로 『조선고적도보』라는 책에 실린 유동리 5층 석탑과 현재의 석탑은 동일한 모습이다. 현재의 사진에 탑이 오른쪽으로 기울어 있는데 이는 카메라가 삐딱하게 찍은 것이 아니라 탑이 기울고 있다. 탑의 1층 기단석 윈쪽이 떠 있으며 이 기단석은 면석이 아닌 통석으로 보이며 대각선 뒷쪽의 1층 기단석 아래 판석의 깨지는 균열이 있지않나 추정하며, 아마도 3년전 평창군은 동탑의 복구예산을 조성한 것이 이 점의 보완을 하기 위한 것인듯 하다. 아마 보수가 진행되었는지는 모르지만 기왕 할때는 탑 상륜부.. 2)"청옥산 육백마지기"의 어원 의미의 고찰<평창아라리의 이해> 2)"청옥산 육백마지기"의 어원 의미의 고찰 후세백작 2018.05.25 02:09 육백마지기에 어원은“육백 +마지기 ”의 합성어로 육백은 제자백가 시대에 풍수가의 음양오행설의 이론에 따라서 아홉별 중에 여섯째를 육백이라하며 금성을 말함이다. 마지기는 저의 블로그 글에 그 해석도 있습니다. ◆ 육백 (六白) - 음양설에서 아홉 별의 하나인 금성을 이르는 말 ◆ 음양설(陰陽說) - 음과 양의 理, 氣를 우주 만물의 생장 변화의 근본 원리로 하는 설 ◆ 구성(九星) - 구성이란 하늘의 별은 음양수로 헤아리는 수를 이야기 합니다. 一白(일백)은 음양가에서 수성을 일컷는 말, 二惑은 토성, 三碧은 목성 , 四綠은 삼벽과 함께 목성을 말함. 五黃은 토성, 六白은 금성, 七赤은 육백과 함께 금성을.. "올림픽 종각"이라는 명칭에서.. [올림픽 종각"이라는 명칭에서] 후세백작 2018.03.24. 03:04 "평창 올림픽 대종에 대하여 여러분들의 관심이 많으신 듯 합니다. 우선 평창 올림픽 대종을 건립에는 많은 분들의 노고와 성원에 힘입어 국가 적인 대종을 건립함에 평창인으로서 자랑스럽기에 감사 드립니다. 그러나 우리가 좀 더.. "평창올림픽 대종"을 바라보며.. [평창올림픽 대종을 바라보며...] 후세백작 2018. 02. 26. 02;95 지난 구정때 날은 추웠지만 어느 향토사가님과 군청에 17억들인 올림픽 종을 살펴 보았다. 종의 생명은 첫째가 종소리라, 한번 타종하고 싶었지만 철고리에 자물통을 채워서 할 수 없었다. 본인은 종만보면 힘껏 때려보는데 옛날 .. 김삿갓에 대한 저의 생각 김삿갓에 대한 저의 생각 | 후세백작 2017.05.31. 01:14 ****************************************************************************************** 평해거사 17.05.26. 23:40 익균이 천동리에 살았고, 마지리에 김삿갓시비가 있다는 말은 처음 듣습니다. 소생이 지금 김삿갓 전기소설을 쓰는데 참고하려고 하오니 보다 .. 평창엔, 두 가지가 있으면 더욱 좋겠다 [평창엔, 두 가지가 있으면 더욱 좋겠다] 본인은 지난 가을 이 유적의 발굴이 기사화되자 몇 편의 글을 통하여 이 유적의 중요성을 논하며 평창인들은 이곳에 박물관 건립을 건의하고 추진하여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같은 시기에 춘천 중도 위락단지 조성지구에서는 .. 여만리의 "예담"과 응암리의 "이담'이 적석총이라는 역사에 관하여 문제제기. [여만리의 "예담"과 응암리의 "이담'이 적석총이라는 역사에 문제제기] 후세백작 2017.04.25 00:47 1.평창 상고사의 유적과 의의 이 두 곳의 역사를 고찰해보기에 앞서 우선 평창의 상고사인 선사시대로 부터 전해지는 개괄적 역사를 들춰본다. 강원도의 선사유적은 춘성군, 명주군, 양구군과 .. 평창은 내고장의 역사를 묻어버릴 것인가?? 후세백작 20:55 화순의 김삿갓 종명지 사진들 잘 보았습니다. 아마 한문으로는 사전에 아직 명사가 없고 終命地 라고 써야 맞겠지요?? (화순은 김삿갓이 인생역정의 마지막 숨을 거둔 고장으로서 몇 억의 예산을 들여 김삿갓 동상등 세우고 추모 사업을 시작하였다) 전국은 지금 조금의 역.. 매화마을 유래와 강절부(강소사)님 이야기 매화마을 유래와 강절부(강소사)님 이야기 후세백작 2014.10.01 01:03 후배님이 오셨구료,,,지난번 후배님들과의 산행은 재미있었습니다. 그리고, 후배님은 鷹岩(매응, 바위암)리 출신 아마 4년 후배이죠??그 날 산행에서 언 후배 왈 매화의 뜻을 아십니까?? 하고 묻길래 나는 농담으로 평창에 .. 이효석의 [영서의 기억]속 고향이란?? 이효석의 [영서의 기억]속 고향이란?? 일전 이효석의 평창공립보통학교 시절의 역사를 들추며 다시 [영서의 기억]이란 책을 뒤척였다. 물론 우리는 그의 [메밀꽃 필 무렵]이란 책을 잘 알고있다. 하지만 이 소설은 시골 장에 있슬듯한 이야기로 촌스럽기 그지없고 무엇이 그리 대단한가 의.. 이승복의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에서,, 이승복의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에서,, 후세백작 2016.07.09 21:30 http://blog.naver.com/olivemana/220094201933위 기사는 몇해전 뉴스의 기사이다. 이 기사는 좌똘들이(좌 똘만이들 활거 시절) 이승복의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가 조작되었다는 뉴스들에, 이를 지켜낸 반공 민주주의의 승리라는 기사이다.1968년에 울진,삼척지구 북괴 무장공비 침투 당시 이승복 어린이가 처참하게 살해된 사건으로, 그 때 이승복 어린이가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외치는 바람에 입을 찢어 죽였다는 사실을 미디어오늘의 김종배가 당시 생존한 이승복어린이의 형 이학관씨의 증언에 문제가 있다며 딴지를 거는 형식으로 시작하여, 1968년 당시 이를 보도한 조선일보의 기사가 박정희 정부의 .. 평창의 역사에 관한 재 조명 (1) 평창군 역사의 재 조명 (1) 평창군 동면이란?? 후세백작 2015, 5, 17 *********************************************************************** <아래의 연표는 평창군 공식 사이트에서 인용함> 삼국시대 고구려의 영역에 속해있어 욱오현(郁烏縣(일명 于烏縣))이라 하였음 삼국통일 후 경덕왕 16년(757) 백오현.. 평창 종부리 구석기 유적 후세백작 2012.11.25 20:15 <강원도 평창에서 청동기시대 주구묘 발견> 문화재청(청장 김 찬)이 허가하고,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원장 지현병)에서 발굴조사중인 강원도 평창군 종부리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로 분류되는 주구묘(周溝墓) 무덤을 보호하기위하여 도.. 5억년동안 신비의 추억을 간직한 백룡동굴 백룡동굴의 메인광장, 인공보다 더 자연스럽고 신비스럽고 스펙타클한 경이를 자아낸다. < 이광춘님의 사진으로 아마 사진 전문촬영을 하기위한 조명으로 일반인의 탐방시엔 이러한 사진을 찍을수 없습니다> 이 메인광장의 이름은 꿈에보는 무릉도원의 <무릉>이라 불러보면 좋.. 율곡 이이선생의 고향은 평창입니다. [율곡 이이선생의 고향은 평창입니다] ************************************************************** 가소롭다 스님이 실상(實相)에 미여혹하 무(無)자만 갖고서 부질없이 추구하네아무리 詩라도 남을 펌하는건 아닌가??우리가 그런 말을 하면 무식쟁이가 스님을 비아냥거린다 할진대 李珥선생은 왜 그런 詩를 썼슬까?? 우선 이 이야기부터 풀어 보도록 한다 李珥선생은 大 성리학자로 이 성리학( 주자학)은 무슨 뜻일까?? 성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에서 주자학으로 넘어가는 역사적 관점을 잠시 고찰해 보는게 그 이해의 가장 빠른 길일 것이다. 주자학은 고려말에 수입되어 조선 건국이념의 바탕이 되었는데, 불교의 사유에 의해 주도되던 고려 말기엔 심각한 사.. 미완의 의병장 고종경과 고씨동굴 [미완의 의병장 고종경과 고씨동굴] 아래의 글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평창 현감 남천 권두문의 "호구록<虎口錄>이라는 난중일기에 서술되어있는 고씨동굴로 피난간 고종원 형제와 그의 아우 고종경이 의병을 일으키다 실패하여 평창으로 압송시킨 후 처형되는 장면들이다. 고종원..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