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의 국구사우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구사우 세미나를 보며.. [국구사우 세미나를 보며..] 高 柱浩 우선 이경식 향토사 위원장님의 "국구사우 터 당위성"의 논문이 전국문화원연합화장님의 상을 수상한 것을 축하 드립니다. 그리고 이번 국구사우에 관한 세미나도 고무적인 일이라 환영합니다. 이경식 논문에서 본인의 블로그 글에 그 위치터의 기록.. (3) 평창에만 존재하는 국구사우를 어떻게 볼 것인가?? (3) 평창에만 존재하는 국구사우를 어떻게 볼 것인가?? 지난 여름 엄기종님과 초면의 대화에서 좋은 말씀들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국구사우의 문제에서 어떤 사람은 옛 사우 터가 어딘가가 중요하다고 말하는데 비해 엄기종님은 터가 아니라 사당의 부자재중 하나로 추정되는 배흘림 기.. 3] 목조와 목조비의 금구몰니(金龜沒泥)란 명당자리는..(국구사우 부록 3) 3] 목조와 목조비의 금구몰니(金龜沒泥)란 명당자리는....(국구사우 부록 3) 사람들은 따분한 이아기는 미처 3분을 듣지를 않습니다만 명당이야기라면 아마 대부분 사람들의관심을 끌기에 적합할듯 합니다. 그래서 저는 가끔 평창의 명당을 이야기 하곤 합니다. 물론, 명당이란 주관적 해석이고 미신이라 할 수 있지만 그럼, 친구들보고 너는 조상님 묘를 저 뼝창(절벽)위에 모실 자신 있는가 하고 반문합니다. 그러면서 평창에는 대 명당이 두개 있는데 넌 어느쪽 갖을래 하면서 말을 이어 갑니다. 평창엔 지관 한분이라도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약 20년전 본인은 평창군 민원실을 나오는데 입구 가장자리에 FM같은 명당 모형도가 있길래 다시 들어가서 친구에게 평창군은 무슨 돈이 많아서 모형도 하나에 천만원씩 하는걸 장식용.. [평창의 임진왜란사에서 노산편] 국구사우 별지 2 [평창의 임진왜란사에서 노산편]- 국구사우 별지 2 高柱浩 2017.10.23 20:19 "국구사우 치폐전말" 세미나 레포트에서 박도식 교수는 평창임란사에 조금 언급이 있었으며 이 부분은 국구사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만 그래도 후일 당시 권두문 군수는 성황신으로 모셔질 가능성이 있기에 고찰한.. 펑창의 자연취락적 마을 형태(國舅祠宇터에 배경적 고찰. 별지 1) 1] 펑창의 자연취락적 마을 형태(國舅祠宇터에 배경적 고찰. 별지 1) 高柱浩 2017.10.23 05:51 저의 글에서 "田"자라는 일제 강점시대의 마을 형태에 관한 생각은 평창의 지형적 고찰이란 점입니다. 이 점에서 우선 평창 옛 시가지에 의한 국구사우터의 배치 이해관계로 이 고찰에서의 문젯점은.. [국구사우(國舅祠宇)터에 배경적 고찰의 소고] [국구사우(國舅祠宇)터에 배경적 고찰의 소고] 高柱浩 2017.10.22 10:43 이 글은 저번주 쓰다가 본의가 아니게 블로그의 게시글을 내리는등 소란속에 그래도 본인이 국구사우의 문제를 알게되어 그 터는 중학교 지금은 폐사된 고목나무 아래란 생각을 가지게 된 서술적 기록과 본인이 지명한 위치에 확신을 가지며 이 글을 게시합니다.본인은 국구사우(國舅祠宇)터의 위치를 평창중학교 고목나무 아래라고 지목하게된 배경적 이해 1] 국구사우에 대하여 본인이 관심을 가지게 된 연유평창에만 존재하는 유일한 국구사우가 조선 500년간 제례를 지내다 일제 강점기 이후에는 끊겼다며 이 문화의 전통을 살리려고 평창문화원에서는 학자님들도 초빙하여 연구도 하는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정작 국구사우터 발견하지 못한다는 아.. 국구사우에서 의문은?? 高 柱浩 작성일 17-10-05 15:03 윗 글에서 본인이 예시한바 극구사우 터는 평창중학교 테니스장 백보드옆 고목나무 아래임이 한치도 빗겨나지 않고 바로 그 자리의 추정점을 확인하였다. 일제 강점기시 1910~일팔년에 전국의 지번 조사를 처음으로 기록한 대장이 1990년도부터 전산 캐드화 작업에 힘입어 이제는 국토 모든 지번이 전산화 작업되었다. 여기에 이번에 정원대님은 평창군에 의뢰하여 정부 전산을 다운로드하여 본인이 지목하던 중리 평창중학교 태니스장을 다운받은바 그곳에 "社寺地"라 명기한 지명을 발견하고 평창고 일본어 선생님께 문의한바 "社寺地"란 단어는 일본에서 사용하는 단어로 신전과 사당을 겸한 곳이라 한다. 그리고 또한 대화고 일본어 선생님께 문의한바 똑같은 답을 얻었다 한다. 국구사우를 당.. 평창의 국구사우 터를 발굴하였답니다 (국구사우 2) 평창의 국구사우 터를 발굴하였답니다 (국구사우 2) 후세백작 2017.09.08. 20:52 국구사우/정원대 세월을 거슬러 조선왕 정조 임금을 알현했다 정조12(무신1788) 8월16일(을사) 관아 옆 원우( 院宇)을 세워 사판祠版을 봉안 토록 하고 호장戶長에게 제사를 주관토록 문무백관에게 명하여 평창군의 이상을 하늘에 告하였거늘 무심한 하늘아래 원우지 院宇址 간곳 없고 목조의 국구國舅 이숙과 돌산군 부인 정씨 묘가 관아 서쪽 4리에서 먼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데 하늘도 부끄럽도다 국구사우國舅 祠宇址: 1910년대 평창군 도면,조선시대(일제강점기)토지조사부등을 면밀히 분석 중리 343번지 토지조사부에는社寺地로 기록되어 있음 참고사항 : 현 평창중학교 옛 테니스장(고목나무)에서 도로변에 社寺地로 되어 있는 .. 후세의 글 호기심 (국구사우 최초발언) 청호 17.06.17. 00:30 후세님의 글 호기심 있어 잘 읽었습니다. 저도 어렷을적에 친척아주마 이웃집 아줌마들과 함꼐 큰산나물 뜯으로 많이 다녓습니다.나물을 뜻다가 아줌마들이 아라리를 몇마디 하는데 ...저 건너 산에서 아라리로 화답을 해와요. 그렇면 신이나서 주거니 받거니 한참을 하군해요.저도 나이 먹으면서 우리 산촌소리에 관심이 들어 더러 살펴보군합니다.감사합니다. 후세백작 17.06.17. 06:44 감사합니다.태백 영서의 아리랑의 보고는 미탄 한치뒷산 청옥산입니다.이 아라리(아리랑)은 메나리조 산의 아라리라 표현들 합니다.메나리조는 메나토리권역으로 강릉의 오곡떼기. 삼척의 메나리등을 모두 말함이며 이 유형의 분류로는 밀양아리랑의 정자소리조, 진도 아리랑의 육자베기조등으로 나누어 집니다.민.. 평창에만 있는 문화---국구사우란?? (국구사우 1)<국구사우 위치 터 최초 발언 > 평창에만 있는 문화---국구사우(國舅祠宇)란?? (국구사우 1) 국구(國舅)는 임금님의 장인이란 뜻으로 왕후(王后)의 아버지를 이르며, 사우(祠宇)는 조상의 신주 (神主)를 모셔 놓은 집을 말함이다. 즉, 극구사우는 임금님의 장인어른을 모시는 사당으로 평창에만 유일하게 존재했던 문화로 잘 알려지지 않았는지 국구사우의 뜻은 백과사전에도 없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라는 평창의 국구사우가 생기게 되는 역사의 일반적 이야기와 극구사위의 제례가 500년 흐르던 전통 문화였는데 일제강점기에 그 맥이 끊겼었다. 그러나 지금 의 장에서 이 문화를 복원하는데 대한 문젯점을 고찰해 보는 것이다. 국구사우는 이성계의 고조부인 목조(穆祖)의 비 효공왕후(孝恭王后)의 부친인 천우위장사(千牛衛長史) 이숙 공과 모친인 돌산군부인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