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론 )
국보 48호인 월정사 8각9층 석탑의 원형은 8각13층 석탑이었다 점의 기록을 찾아 역사적 사실의 진위의 당위성과 동 탑의 설계기법의 논리적 모순을 통해서 동 탑이 9층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문제점을 지적하며, 가칭"탑파의 생명선"으로 보는 월정사탑이 9층보다는 13층 탑이라야 더욱 세련되고 완성적 원형이라는 이야기를 전개하여 본다.
(1) 월정사 탑이 8각 13층 석탑이라는 역사기록 고찰
1) 1970년 월정사 8각8층 석탑을 해체 복원공사의 책임자 정양호 선생의 월정사 리포트 글을 인용한다.
德 田 의 문 화 일 기 http://blog.daum.net/kkks1/203
◈ 한국미술사상 월정사 八角九層石塔의 의의.
정 영 호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본문 내용중 발췌)
1970년 10월 3일에 착수하여 8일까지 6일간 소요되었는데 해체와 실측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이때 작업의 책임은 필자가 담당하였고 실측은 홍사준씨(전 부여국립박물관장)가 진행하였는데 이호영씨(전단국대
박물관 연구원)가 함께 하였으며 작업은 장한건설회사(대표 정복영)가 맡았었다 -- 이하중략
꽃문양들은 파손된 부분이 많았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아 동북방으로 약간 기울어졌고 오랜세월 風磨雨洗되어 풍화작용이 극심하였다. 특히 옥개석 부분에서는 각층을볼때 완전한 층이 적고 파손된 층이 많았으며 각층 옥개석의 8귀 전각에 달렸던 풍탁이 거의 半이상이 결실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