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세백작의 글에 의해 영월은 壬辰義兵將 髙宗慶 倡義碑를 세우다.
[해설자료] 영월고씨굴 (寧越高氏窟) 역사문화 김원식 조회 31 추천 0 2019.08.20. 14:26
[해설자료] 영월고씨굴 (寧越高氏窟).hwp [해설자료] 영월고씨굴 (寧越高氏窟) ------------------------------------------------------------ [미완의 의병장 고종경과 고씨동굴] [출처.전문인용] 블러그 이름 : 후세백작의 지평. 블러그 주소 : http://blog.daum.net/kkks1/376/. 글을 쓰신 분 : 후세백작 아래의 글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평창 현감 남천 권두문의 "호구록<虎口錄>이라는 난중일기에 서술되어있는 고씨동굴로 피난간 고종원 형제와 그의 아우 고종경이 의병을 일으키다 실패하여 평창으로 압송시킨 후 처형되는 장면들이다. 고종원의 <기천록>이 있다 하나 저는 아직 접하지는 못하였고 그 기천록은 고종원 형제의 당사자의 글이나 당시, 임진왜란을 겪는 일지인 이 호구록 7장에 쓰여진 고종경 형제들 일부의 이야기는 3자적 입증의 글이라 할 수 있다. 아래의 호구록 7장은 권두문 평창군수가 왜구에 잡혀 왜구들의 임시 강원도 본거지 원주의 강원감영에 수감되어 있는데 고종원 형제도 고씨동굴에서 잡혀 와 옥중에서 만남으로 시작된다. ****************************** (아래의 호구록이란 인용글은 420년전 당시 권두문 평창군수가 왜구에 의해 원주 감영에 투옥되며 고씨동굴에 피신하였다가 체포된 고종원 두 형제와의 해후에 의병의 책임을 지고 평창으로 압송하여 형행하라는 강원도백의 명에 따라 권두문 군수가 형행하고도 서로 위로하는 남천 권두문 군수의 임란 일기로 13장중 제 7장을 인용한다) <虎口錄> 7장 南川 權斗文 萬歷 壬辰 8월 19일 낮에 영월 선비 고종원, 종길 두 형제가 잡혀 왔다. 먼저 내 앞에 와서 눈물을 흘리면서 "공께서 어쩌다 그렇게 되셨소? " 한다. 나는 "평생에 악을 쌓은 게 많아서 부자와 함께 호랑이 굴에 들어왔으며 늙으신 아버지께선 올해 연세가 71세인데, 난리 통에 쫒기어 어디 계신 줄도 모르니 나는 속히 죽원이나 그렇게는 되어지지 않고 적의 칼날이 내 머리로 떨어질때 강녀가 몸으로 나를 덮어 나는 살고 그녀는 죽고 여기에 잡혀 온 후에는 내 아들 주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오늘까지 나를 죽이지 않았으나 내일 어떻게 될지 나도 잘 모르겠소"라고 했다. 고(高) 군이 이르되 "소무나 문산 같은 분이 다 악을 쌓아서 그리된 것이 아니라 다 운명이로소이다" 공의 처지도 저와 비슷합니다. 저도 팔십 노부가 난리에 쫒기어 방금 산곡에 계시고 아우 종경이가 의병을 불러 모으다 비명에 죽고 내 처는 나를 살리려다 암굴에서 죽었으니 처지가 어찌 그리도 흡사합니까??"한다. 나는 말했다. " 영재(令第) 종경이의 죽음을 샐각한다면 슬프기 한이 없고, 지금 생각하면 나의 과실이 적지 않다"하니 고 군의 말이 "내 동생의 죽음은 비록 애매하다고는 하나 본 읍(本邑)에서 구명( 求命)의 첩(牒)이 영문( 營門)에 도착하기 바로 직전에 이미 형이 집행되었다고 하니 이 어찌 운명이라고 아니할 수 있으며, 공의 과실이라고 탓 하겠습니까? 한다. 고종원은 횡성 세족(世族 )으로 영월로 이거해 살다가 왜변이 났다는 말을 듣고 그의 아우 종경이가 고향 마을에 통고해서 병사를 모으니 온 마을이 모두 종경이의 문무재주를 추앙해서 그를 우두머리로 삼아 의병에 참가하니 그의 향병(鄕兵)이 수백 명이라, 장차 홍천과 영춘 사이의 험한 곳을 거점으로 하여 왜군의 진로를 차단할 준비를 하고 있슬 때였는데 도백이(지금의 도지사)가 찾아와 종경이의 의(義)가 가상타고 격려하며, 당시 흥원진(興原陳)이 약하다고 종경이가 모은 영군(營軍) 500명으로 흥원진을 도우라고 지시하고, 이 뜻을 흥원진에 알렸건만 영군이 중도에서 흩어지는 바람에 때를 놓치게 되었다. 흥원진장(興原陳將)이 이를 도 영문(道營門)에게 보고하니 영문에서는 종경이 군율을 범하였다고 체포하여 내가 근무한 평창으로 이송하여 그를 행형(行刑)토록 지시했다. 종경이 처음에는 구국일념으로 모병을 한 공과 의가 있다해도, 영문절제(營門節制)에 부진망진(赴陳亡陳)하여 때를 놓쳤으니 사형을 집행하라는 상부의 명이었다. 그때 마침 나도 관직을 겸하게 되어 군(郡)에 당도해 보니 평창 읍내 많은 사람들이 군청 뜰에 가득 모여 진정과 호소를 하는데 종경이는 가상한 의는 있슬지언정 죽일 죄는 없다고 하며, 영진(營陳)이란 것이 군진(軍陳)과는 달라 오늘 모였다가 내일 흩어진다 해도 종경이 사율(師律) 이 엄하지 못해 그런 것도 아니고 군(軍)의 신망을 잃어서 그런것도 아니며, 종경의 재주와 혈기는 가히 한 구석을 막을 수 있는 인물이 아니라 나라가 위급할 때 죄 없는 의사를 죽인다면 원통하고 아깝다고들 하였다. 그때 마침 한양에서 평창으로 피난을 온 한산군 이축과 前 부사 윤면, 선전관 신경등, 교관 홍재식이 앉아서 말하기를 " 이 사람이 먼저 창의( 倡義)를 했으나 가위(可謂) 쓸만한 인물이니 석방을 하여 국가에 이롭게 함이 옳다" 하니 나도 이 뜻을 위에다 보고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그 후에도 오래도록 상부의 회신이 없어 수령의 도리로 윗 사람의 명을 어기며 오래토록 기다릴 수 없어 애석하긴 했지만 그의 형을 집행하였다. 그러나 사형을 집행한지 얼마 않되어 도백으로부터 종경에 대한 형을 정지하고 무죄 석방하라는 첩문(牒文)이 왔으니 놀랍고 아깝기 짝이 없었다. 내가 "애매하다" 한 점이 바로 이런 뜻이다 . 고 군이 내 아들 주를 보며 한숨 지우며 하는 말이, "충효의 가문에는 기가 반드시 통할 것이니 하늘이 반드시 도울 것이며 왜들도 해하지 못할 것이다""한다. 나도 대꾸하여, " 고 형(高兄)도 역시 이 나라 사직에 은혜가 있고 의병을 도우다가 이루지 못한 한을 안고 죽은 동생의 의가 형제간에 서로 통할 것이니 하늘이 만약 우리 부자를 도우신다면, 고 형 형제분들도 꼭 도우실 것입니다""하고 서로 위로하다 보니 어느새 밤이 깊어갔다. 나의 증조부 익장공(翼蔣公)을 생각하면 삼도(三道)의 감찰사(監察使)로 그 이름이 방방곡곡에 진동하여 왜구들이 스스로 겁을 먹고 접근하지 않아 임금께서도 교지로 지용(智勇)을 겸비한 인물이라고 칭찬하셨는데 이제 그 자손이 오히려 왜노(倭奴)에게 잡혀와서 땀을 흘리니 참으로 한심하기 짝이 없다"하며 흐느껴 우는지라. 무슨말로 어떻게 위무를 해야 할줄 몰랐다. ------ 이상 이 이야기는 임진왜란 때 강원도 영월에서 의병을 모아 왜구에게 대항한 고종원 형제에 대한 이야기로 강원도 영월군 진별리에 고종원, 종길, 종경 삼 형제가 부모님을 모시고 살고 있었다. 종경이는 자는 사근(士近), 호는 화수 화전군(花田君) 인비(仁庇)의 10세손이며 안릉참봉(安陵參奉) 광후(廣後)의 3남으로 중종 33년(1588) 5월 18일 출생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구가 쳐들어와 계속 승리하며 북진하고 있었다. 그해 6월 26일 영남지방의 전병사(前兵使)인 김성일(金誠一)과 호남지방의 동래 부사였던 고경명(高敬命)의 창의격문(倡義檄文)을 보고 감격하여 도내 각읍에 통문(通文)을 돌려 군량(軍糧)과 병기주철(兵器鑄鐵)을 모으고 청, 장년을 소집하였다. 이들의 봉기 소식을 들은 강원 감사 유영길은 고종경에게 그 솔선창의(率先倡義)를 가상히 여겨 관군 오백 명을 첨송(添送)해 주며 새로 모집한 관군 오백 명을 주어 흥원진까지 통솔해 가기를 명하였다. (흥원진은 남한강과 섬강이 만나는 지역으로 일본군이 한양 공격의 주 루트에서 남한강을 건너 원주로 들어 온다는 예상의 남한강을 건너는 관문) 군사를 통솔하여 가는 도중 고종경은 관군의 도망이 심해 다시 군사를 모으고 이끄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서 제시간에 흥원진에 도착하지 못했다. 이를 추포(追捕)하느라 기일을 어기게 됨에 도백은 종경의 지휘책임을 물어 그를 체포하여 평창군으로 이송 수감시켜서 행형을 할것을 하명하였다. 이때 평창에 피난 온 완산군(完山君) 이축(李軸), 전부사(前俯使), 윤면(尹勉), 선전관(宣傳官) 신경징(申卿澄) 교관(敎官) 홍식(洪湜)등이 창의(倡義)인재임을 들어 사죄성공케 하려고 힘썼으며 권군수(權郡守)도 공의(公儀)로 사죄공문(赦罪公文)을 감영(監營)에 보냈으나 공문은 길이 막혀 전달치 못하게 되니 상사의 명을 지연시킬 수 없다 하여 행형을 하고 말았다. 참으로 애통 가석(哀痛可惜)한 일이다. 후일에 조정에서 명령전도(命令顚到)의 책임을 물어 도백은 파출(罷黜)되었다. 일부 도망친 군사들을 대신하여 이 소식을 들은 영월의 백성들이 “위급존망의 날을 당하여 무죄한 의사(義士) 한 명을 죽이는 것이 어찌 애석한 일이 아니겠습니까?”라고 사면을 요청했고, 군수 권두문이 이러한 사정을 원주 감영에 보고했지만 길이 막혀서 제시간에 가지 못했다. 뒤늦게 이 소식을 접한 유영길은 바로 파면당하였으나 영월 사람들은 고종경의 부당한 죽음을 보고는 의병에 참여하길 꺼려하여 모두 흩어져 버렸다. 여기서 정선은 왜장의 항복하라는 서신을 들고간 첨병에게 항복하고 왜병의 수중에 들어갔고, 8월 7일 평창에 왜병이 들어오며 9일에는 적장의 항복권유 서신을 가지고온 첨병 조선인의 목을 베어버리고 권두문 군수는 대항하여 싸웠지만, 평창에선 관군과 주민을 합해서 100여 명이 강원도를 향하여 철원, 김화, 고성, 강릉, 삼척을 거쳐 백봉령을 넘어 정선, 평창, 영월,신림에서 원주로 향하여 원주 영원성(치악산성)에서 원주시장 김제갑 옹을 처형하고 승리하여 강원도를 장악하는 왜장 모오리 요시나리(森吉成)가 이끄는 쓰미즈 번의 왜구 4번대의 4,000명의 왜구에 대적하기란 중과부적이기에 응암굴로 피신하였다가 응암리 전투에서 패해 일본군의 포로가 되었고, 영월은 의병장 고종경의 처형에 따른 불만과 세 규합이 용이치 않자 영월은 싸움 한번 못하고 영월 고을을 내주게 되었다. (당시 권두문 평창군수에게 고종경의 처형의 명을 내렸는데 시중에 권두문이 영월군수라는 인터넷 글들의 확산은 오류임을 지적한다) 8월 17일 적이 영월에 쳐 들어 온다는 소식을 듣고 고종원은 가족을 이끌고 노리곡 (지금의 진별리 고씨굴) 석굴 안으로 피난했다. 다음날에 적이 영월까지 진입하여 남아 있는 농민들을 협박하여 의병을 일으키려던 고종원 형제의 숨은 곳을 알아냈다. 18일 왜군은 뗏목을 타고 진별리 강을 건너 노리곡으로 집결하여 피난민을 색출하기 시작했다. 노리곡굴 입구에 섶을 쌓아놓고 불을 지르자, 고종원의 아내 조 씨 부인은 노리곡굴 안에 있는 연못에 투신하여 자결하였고 고종원 형제는 훗날을 도모하기 위해서 굴 밖으로 나와 포로가 되었다. 두형제는 모진 고문을 당해도 결코 투항하지 않았다. 굴 안에 불을 지펴 생포하려 하자 부인 조씨(曺氏)는 굴 안 벽상에서 투신자결 하였고, 계제(季弟)종길과 같이 잡혀 원주로 압송되어 목책(木柵)속에 수감되었다. 위의 호구록에 8월 19일 자 기록은 고종원 두 형제가 원주 감영에서 평창의 권두문 군수를 만나서 서로를 위안하며 앞날에 의(義)로서 앞날의 왜를 이겨나가자는 결의속에 권군수의 아들 주가 비밀리에 파던 탈출구를 이용하여 9월 1일 폭우가 심한 밤을 틈타 탈출에 성공하여 권군수(權郡守)는 평창으로 무사히 돌아가고 형제는 영월로 가다가 단구역(丹邱驛) 근처에서 적에 잡혀 종길은 그 자리에서 죽고, 공은 요행이 방면돼 9월 6일 포로된 지 20일 만에 천신만고 끝에 영월에 돌아와 노친(老親)(71세)을 만났다. 4월 20일 임진왜란이 일어난 직후부터 9월 6일까지의 사건을 기록한 기천록(祈天錄)이 남아있다. 이 책은 임진왜란 때 강원도 의병의 면모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고종경의 억울한 죽음과 당시 백성들이 전쟁에 임하여 적극적인 자세로 대항하려 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공이 피난했던 노리곡 석굴은 그 후 고씨굴(高氏堀)이라 일컫게 되었다. 이 글을 통하여 본다면 미완에 그친 고종경 의병장의 의병활동은 강원도의 골짜기는 왜병들이 이동통로라는 생각에 장차 험준한 산세를 이용하여 영춘서 홍천까지 주 무대로 게릴라성 의병활동을 그린듯 한데. 강원도백의 명은 남한강에서 섬강으로 건너는 장호원 목계쯤의 앞에서 남한강을 건널 왜군을 원주 흥업면의 흥원진에서 적의 대군을 막으라는 명에 싸움 한번 해본 적이없는 의병들이 지레 겁부터 먹고 대열이 흐트러지기에 흥원진에 도착시간이 늦었던 것입니다. 이를 탓하여 의병장을 평창으로 압송하여 행형하라는 도백의 명령엔 의를 의로 받아주지 않아서 민의가 돌아서서 영월군은 현감이 잠적해 버리고 왜구에 대항 한번 못하고 왜의 손에 점령당한 것입니다. 여기서 저의 생각으로는 윗글 호구록에 영진(營陳)이냐 군진(軍陳)이냐를 따지기 이전에 의병도 목숨을 조국에 바치고 나가 싸우 는 군진이겠지만 그들의 인원과 무기 등의 특성과 성격을 파악하고 요소에 맞는곳에 배치를 하여야 효율적이란 점입니다. 윗글 호구록의 다음 장에는 영원성(원주를 사수하는 치악산성)에서 관군 4,000명이 왜군 3,000명에 패하고 원주 목사 김재갑의 목을 베는 일례에서 보면 관군은 성의 안쪽에서 아래로 향한 전투에서 3,000명에 패를 당한 것입니다. 당시 왜군은 조총을 지녔지만, 그것이 그리 효율성 있는 우월한 무기는 아니었습니다. 조총은 유효사거리 50 m이기에 우리가 활과 활촉을 많이 지녔더라면 먼저 선재공격도 가능하였슬 터인데, 돌을 던지는 육박전에서 조총의 무기에 무너지고 만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의 의병이 무기도 변변치 못한 상태에서 나아가 흥원진에서 왜구를 차단하란 것은 그 위급한 사정은 이해가가나 무모한 죽음이 될 수 있다는 의병들의 생각이 도망가는 것의 생각이 아니었슬까요?? 전투는 어디까지나 승리가 목적이고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 최상이지만 여의치 않을 땐 연안장정을 돌더라도 모택동 전법중 하나인 빠지는 전법도 훌륭한 전법이라 생각합니다. 이제 우리는 고종원 형제의 의병의 용기와 그 충정을 기려야 합니다. 저는 영월에서 문화행사는 잘 모릅니다만 평창을 미루어보면 임란 당시 응암굴에서 왜구에 체포되자 응암굴 절벽에서 푸른 강물로 투신한 권두문 군수의 소실부인 강소사는 소문이 나자 선조께서 강절부(節婦)라 추존하였지만, 이 임란 420여 년이 지난 작년에 천동마을의 선각적 주민들에 의해 강절부님의 진혼제를 처음으로 올렸습니다. 이렇듯 또한 고씨굴에 피난하였다 체포되어 능욕을 당할 끔직한 일을 미루어 고씨굴 연못에서 자결을 한 고종원의 처 조씨에대한 진혼제도 드리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앞으로도 매년 제의 예를 기려야할 이땅의 후예 후손들의 몫 입니다. 의병을 발하면 국가의 명령과 규율을 엄수해야 되지만 이 의병모집은 아직 세를 전열 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강원도백의 무리한 명령에 의병활동을 시작도 못하고 의병장 고종경 어른은 의병장으로서 명령을 충분히 수행치 못하였다고 하여 형법에 의한 비운을 맞이한 것입니다. 이 일은 420년이 지난 지금이라도 당 국가의 명이므로 고종경 어른의 형행은 복권되어야 하며 의병장 대열에 올라야 합니다. 강원도백의 잘못 판단으로 비록 미완으로 끝난 고종원 형제들의 의병활동은 국난의 어려운 형세에 국가를 위하여 분연히 일어선 용기와 기백은 분명 의병으로 기록되어야 하고 앞으로도 영월의 상징으로 버금가야 할 것입니다. 목숨을 바쳐 국가를 구하려는 구국의 그 기상과 충정은 우리들의 영원한 애국심의 상징이기 때문입니다. 후손인 저로서는미완의 혁명장 고종경과 그의 형제들의 충정에 머리 숙여 깊이 감사 드립니다. 저는 엇그제 이 호구록의 번역을 하신 남천 권두문군수님의 직계12대 종손 분과 인터넷 대화에서 이 호구록내의 의병장 고종경의 이야기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점을 다시 적어 알려드립니다. 위 호구록의 19일자 일기 하단에 고종원이 이야기하는 "나의 증조부 익장공"에 대해서는 저는 알 수 없습니다. 고씨굴에 피난한 고종원일가는 제주고씨 화전군파(일명 횡성파)이며 아이디 "나무귀인"님이 말씀하신 고경명 의병장은 제주 고씨 장흥백파 입니다. 그럼, 삼도 관찰사를 하신 익장공 고경명 어른에 관한 권두문 군수의 표현에 좀 부정확한 면이 있지않나 하는 점 이다. 제가 화전군파 고씨로 이때 영월로 이사를 하셔서 임 영월고씨라 불리워지며 종원의 후손들은 영월고씨 문곡파라 하며 종길의 후손들은 정선 고씨라 불리워 집니다. 420년전 임란때 개인의 삶을 뒤로 미루고 목숨울 바쳐 조국의 국난극복의 길로 나서서 의병을 모집하여 국가의 존위에 힘쓰고자 하셨던 저의 윗대 제주고씨 화전군파 어르신들의 충정에 13대 문곡파 후손으로서 머리숙여 깊이 조의를 드리며 이 글을 마칩니다. 후세백작 2016.02.29 21:26 영월 고씨굴은 420년전 임란당시 고씨일가가 파난하였다는 이야기 뿐인데 피난하게된 이유는 의병모집이었으며 강원도백의 잘못된 판단과 이에 따라 의병활동이 미완에 그치고 사형당하여였지만 모리 요시나라가 이끄는 시마즈 4번대가 백봉령을 넘어 정선- 평창- 영월- 강원도영의 원주 영원상성(치악산 전투)까지의 행로에 영월에 들이 닥치자 의병을 모집했기에 고씨일가는 강건너 동굴로 피신하지만 첩자들에 의해 왜구는 굴 입구에서 연기로 ...이러한 고씨 일가의 슬픈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것이야기가 아니라 420여년전 임란당시 평창군수 권두문이 왜구에 의해 원주 감영에 투옥되고 이어서 영월 고씨굴 3형제중 셋째 고종경은 강원도백의 명에 의해 평창으로 압송되어 형행되고 첫째와 둘째 고종원 형제도 감영에 투옥되어 권 군수와의 대화이다. 이 이야기는 권군수가 집적쓴 임란일기인 "호구록"을 12대 직계 종손 권태하님과 그의 문중 한학자님에 의해 번역된 자료에서 발췌하여 쓴 이야기 입니다. 이 이야기를 통하여보면 영월은 앞으로 고씨굴의 고종경을 의병장으로 추서하여 그에 대한 예우도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그의 어머니 조씨 부인이 왜구들에 체포되기 이전 굴속의 물에 투신하여 자결하여 절개를 지킨 시대를 넘는 도덕적 모럴에 후손들의 매년 그의 진혼제도 올려야 마땅 하리란 생각입니다. 남원의 광한루는 있지도 않은 성 춘향을 꾸며 팔아먹지만 고씨동굴에조씨 부인의 투신은 얼마나 아름다운 행위입니까?? 미완의 의병장 고종경 어른은 영월의 름름한 기상을 나타낸 의병장이었으며 우리는 앞으로 그 뜻을 영원히 기려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이 영월 역사의 숨어있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이야기입니다. 그 이야기는 첨부파일에 게첨합니다. [출처.전문인용] 블러그 이름 : 후세백작의 지평. 블러그 주소 : http://blog.daum.net/kkks1/376 글을 쓰신 분 : 후세백작 ------------------------------------------------------------ 영월문화원 2019.08.14. 보도자료 발표 임진의병장 창의비 제막식 및 창의비에 새겨진 고종경 사료 문장 전문 보도자료 역사와 문화의 향기가 가득한 영월문화원 2019년 8월 14일 배포 2019년 월 일 부터 보도 영월문화원 총 쪽, 첨부 : 약사1부 담당 : 영월문화원 사무국장 나명길 전화: 033)374-3434/ 팩스: 033)373-1443/ 이메일: ywcul@hanmail.net Yeong Wol Culture Center “영월문화원, 임진의병장 고종경 창의비 제막식” 1. 일 시 : 2019. 8. 14(수) 오전10시 2. 장 소 : 영월 고씨동굴 공원 3. 내 용 : 임진의병장 고종경 창의비 제막식 □ 영월문화원(원장 엄흥용)은 광복 74돌을 맞아 14(수) 오전10시, 고씨동굴 공원 일원에서 ‘임진의병장 고종경 창의비’ 제막식을 마련했다. □ 폭 2.5m, 높이 5m 규모로 건립된 창의비에는 400여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아직도 이곳 진별리에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고 국권회복을 위해 목숨을 걸고 일제에 항거한 고종경 의병장 형제의 충절이 담겨져 있다. □ 이를 통해 항일운동의 발상지이자 의병장을 많이 배출한 역사적인 영월 홍보와 일제에 맞서 목숨을 바친 수많은 의병들의 넋을 기리고자 한다. □ 또한, 항일운동에 대한 깊이 있는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향후 의병공원 조성 등 꾸준히 의병 현창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壬辰義兵將髙宗慶倡義碑 임진의병장 고종경(髙宗慶)은 1540년(중종 35)을 전후하여 부친 고광후(髙廣後)와 영월 엄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젊어서부터 인품이 순후(淳厚)하고 학문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무예(武藝)도 출중하였다. 그는 제주 고씨 고을나(髙乙那)의 후손으로 파조 고인비(髙仁庇)는 고려시대 병부시랑(兵部侍郎) 상장군(上將軍)을 거쳐 충렬왕 때 화전군(花田君)에 봉해져 횡성지역의 명문세족(名門世族)으로 성장하였다. 고조부 고습(髙襲)은 자헌대부 이조판서겸지의금부사 행금성현령(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行金城縣令)으로 추증되었고, 증조부 고사신(髙思信)은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 계공랑 행전옥서주부(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啓功郞行典獄署主簿)로 추증되었다. 조부는 고항산(髙恒山)으로 참봉이었고, 그의 종조부(從祖父)인 익장공(翼莊公) 고형산(髙荊山)은 중종 때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호조·병조 외 6조판서와 우찬성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한 인물이었다. 영월 화전군파 입성조인 그의 부친 고광후(髙廣後)는 서종형제(庶從兄弟)가 역모에 연루되자 가족과 함께 횡성을 떠나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로 이주하였다. 1592년 왜란이 일어나자 고종원(髙宗遠)·고종경(髙宗慶) 형제는 창의격문(倡義檄文)을 짓고 통문(通文)을 돌려 무기와 군량미를 준비하여 ‘영월임진의병(寧越壬辰義兵)’을 창의하였다. 의병들은 학식과 지혜를 겸비하고 문무(文武)가 출중한 고종경을 ‘의병 창의대장(義兵倡義大將)’으로 추대하였다. 이 때 강원도 1592년 8월 17일 왜장 ‘모리 요시나리(毛利吉成)’가 영월로 쳐들어와 약탈과 살육을 일삼았다. 고종원은 가족들과 강 건너 노리곡 동굴(고씨굴)에서 피난 중 왜적들에게 포로가 되었다. 부인은 참봉 조빈(曺彬)의 딸로 왜적들에게 몸을 더럽히지 않으려고 고씨굴에서 자결하였다. 8월 19일 고종원·고종길 형제는 평창군수 권두문(權斗文)과 함께 영월 봉서루(鳳棲樓)에 갇혔다. 이후 주천 빙허루(憑虛樓)를 거쳐 원주관아로 끌려가서 감금되었다. 포로가 된 평창군수와 종원·종길 형제는 1592년 9월 2일 천둥과 폭우가 쏟아지는 날 원주관아를 탈출했으나, 동생 종길(宗吉)은 원주 단구역(丹邱驛)에서 왜적들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영월 임진의병의 역사는 400여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아직도 이곳 진별리에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에 구국(救國)의 일념으로 평생을 살다 간 고종경 의병장 형제의 충절과 항일의병의 역사를 기리기 위해, 오늘 영월군민의 뜻을 모아 빗돌을 세운다. 2019년 8월 15일 영 월 문 화 원 이 글은 고종원의 「기천록(祈天錄)」과 권두문 평창군수의 「호구록(虎口錄)」을 바탕으로 하였다. 세움 : 영월군수 최 명 서 영월군의장 윤 길 로 영월문화원장 엄 흥 용 도움 : 제주 고씨 영월종문회장 고 진 국 빗돌 글 엄흥용, 빗돌 글씨 김태숙, 조각 김병철 -------------------------------------------------------------- *************************************************** <상단의 해설자료의 첨부파일> [해설자료] 영월고씨굴 (寧越高氏窟)
가. 문화재청 종목 : 천연기념물 제219호 명칭 : 영월고씨굴 (寧越高氏窟) 분류 : 자연유산/천연기념물/지구과학기념물/천연동굴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 1969-06-04 . 시 대 : 미 분류 영월 고씨굴은 남한강 상류에 위치해 있으며 임진왜란 때 고씨 일가족이 이곳에 숨어 난을 피하였다하여 “고씨굴”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동굴의 총 길이는 3㎞ 정도이며 형태는 대략 W자를 크게 펴놓은 듯 하다. 지금으로부터 약 4∼5억년 전에 만들어졌으며,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굴안의 온도는 연중 15℃ 안팎이며 수온은 5.3℃이다. 고씨굴 안에는 고드름처럼 생긴 종유석과 땅에서 돌출되어 올라온 석순이 널리 분포해 있으며, 화석으로만 존재한다 믿어왔던 갈로아 곤충이 서식하고 있다. 영월 고씨굴은 종유석과 석순 등이 잘 발달되어 있고, 다른 동굴에 비하여 동굴 속에서만 살아가는 희귀한 생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나. 사료(史料) 임진왜란(壬辰倭亂)이란? 발생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 종결 : 1598년 임진년에 처음 발생했다 하여 보통 '임진왜란'이라고 하며, '7년전쟁'이라고도 한다. 1차 침입이 임진년에 일어났으므로 ‘임진왜란’이라 부르며, 2차 침입이 정유년에 있었으므로 ‘정유재란’이라 한다. 하지만 임진왜란 하면 일반적으로 정유재란까지 포함시켜 말한다. 이 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文祿]·케이초[慶長]의 역(役)’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만력(萬曆)의 역(役)’으로 부른다. 1592년 4월 일본군 선봉대가 부산포로 쳐들어와 서울을 향한 북진을 계속해 2개월도 채 못 되어 전 국토가 유린되었다. 선조와 세자는 평양으로 피난하였다. 한산도대첩 등 해전의 승리로 일본의 해상작전이 좌절되고, 전라도 곡창지대를 지킬 수 있었으며 육지의 곳곳에서도 유학자들과 농민이 주축이 된 의병이 일어나 육상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12월 명나라는 4만 3,000여 명의 병력을 파견했고 1593년 1월 8일 조명연합군은 평양성을 탈환하고 일본과 협정에 들어갔다. 강화가 결렬되자 1597년 다시 침입했으나 육지에서는 권율·이시언의 조명 연합군에 패하고 해상에서는 이순신에게 패하여 7년에 걸친 전쟁이 끝났다. -출처 : 백과사전 강원도사(2017년 강원도사편찬위원회)
제21권 전란 제3절 조선시대 1. 왜란 | 91쪽 제2장 | 전근대 강원지역 전란 5) 영월의 의병봉기 임진왜란이 일어난 직후 영월지방에서는 의병이 봉기했다. 영월군 진별리에 살던 고종원(高宗遠)·고종길(高宗吉)·고종경(高宗慶) 형제가 경상병사 김성일(金誠一)의 초유문 (招諭文)과 전라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격문을 보았는데, 이때가 6월 26일이었다. 고종원은 의병모집의 통문을 돌려 모여든 의병으로 진영을 설치하고, 병기마련과 군량미 조달에 힘쓰며 문무의 재주가 있는 고종경을 의병장으로 추대하니 모여든 의병이 수백 명 이었다. 그때 흥원진은 남한강과 섬강이 만나는 합수머리로 왜병이 남한강을 건너는 관문이었다. 흥원진으로 고종경 의병장이 관군 500명을 인솔하던 중 일부 관군이 도망쳤다. 도망친 관군을 다시 모으고, 또 새로 모집하여 500명의 관군을 겨우 흥원진에 집결시켰다. 그러나 도중에 관군이 도망치는 분란이 있었으므로 지정된 날에 도착할 수가 없었다. 감사 유영길은 군율을 엄하게 다스린다는 명목으로 고종경을 영월로 압송하여 형을 집행하게 하였다. 이때 평창군수 권두문(權斗文)이 영월군수를 겸하고 있었다. 영월 백성들은 “도백(道伯)이 법문을 변통하기 어렵다하여 행형하라는 공문을 보냈으나 고종경은 죽일 죄는 없는 것입니다. 위급 존망의 난을 당하여 무죄한 의사 한사람을 죽이는 것이 어찌 애석한 일이 아니겠습니까”하고 권두문 군수에게 울면서 사면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때 피란왔던 완산군(完産君) 이축(李軸), 전 부사 이면(李勉), 선전관 신경징(申景澄), 교관 홍식(洪湜) 등이 “고종경은 쓸만한 인재이니 사죄하여 공을 세우게 하는 것이 국가의 이익”이라고 했다. 권두문 군수는 이 같은 사실을 원주감영에 보고했지만 아무런 답변이 없었다. 권두문 군수는 수령의 직책으로 상사의 명을 오래 지체할 수가 없어 부득이 형을 집행했다. 얼마 후에 감사 유영길은 고종경 의병장의 무죄함을 깨닫고 사면한다는 공문을 보내왔지만 이미 사형이 집행된 뒤였다. 권군수를 비롯하여 영월 고을 백성들은 통탄했다. 고종경 의병장은 죽음에 임해 “한 놈의 왜병도 죽이지 못하고 군율을 범한 바가 되었으니 죽어도 눈을 감을 수가 없다”고 탄식했다. 고종경 의병장이 부당하게 처형당하자 영월지방 사람들은 의병에 대해서 말하기조차 꺼려하게 되고 또한 사기도 떨어져 의병들은 해산되었다. 그 후 고종원 형제는 주민들과 함께 진별리 석회암 동굴(지금은 이곳을 ‘영월 고씨굴’이라고 함)로 피란하였다가 왜군에게 잡혀서 포로가 되었는데, 권두문 군수가 쓴 『호구일록』에 보면 고종원의 동생 고종경을 사형에 처한 권두문 군수가 왜군에게 잡혀 영월로 끌려갔는데 거기서 고씨 형제를 만나 고종경의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대목이 기록되어 있다. 평창을 유린한 왜병은 8월 17일 영월 을 점령했다. 18일에는 진별리에 진입했다. 진별리 고씨굴로 피란했던 고종원은 왜병에게 잡혔고, 부인 조씨는 왜놈에게 잡혀 능욕을 당하기보다 남편을 자유롭게 운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고씨굴 안에 있는 못에 투신 자살했다. 고씨굴 은 본래 노리곡(魯里谷) 굴이었으나 고종원이 피란했다고 해서 고씨굴이라는 영월 고씨굴 이름이 생겼다. 고종원은 의병을 일으켜 왜병과 싸워보지도 못하고 포로가 되어 원주까지 끌려갔다가 탈출한 후, 임진왜란의 처참한 기억들을 『기천록(祈天錄)』으로 남겼다. 영월문화원 2019.08.14. 보도자료 발표
임진의병장 창의비 제막식 및 창의비에 새겨진 고종경 사료 문장 전문
임진의병장 고종경(髙宗慶)은 1540년(중종 35)을 전후하여 부친 고광후(髙廣後)와 영월 엄씨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젊어서부터 인품이 순후(淳厚)하고 학문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무예(武藝)도 출중하였다. 그는 제주 고씨 고을나(髙乙那)의 후손으로 파조 고인비(髙仁庇)는 고려시대 병부시랑(兵部侍郎) 상장군(上將軍)을 거쳐 충렬왕 때 화전군(花田君)에 봉해져 횡성지역의 명문세족(名門世族)으로 성장하였다. 고조부 고습(髙襲)은 자헌대부 이조판서겸지의금부사 행금성현령(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義禁府事行金城縣令)으로 추증되었고, 증조부 고사신(髙思信)은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겸판의금부사 계공랑 행전옥서주부(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啓功郞行典獄署主簿)로 추증되었다. 조부는 고항산(髙恒山)으로 참봉이었고, 그의 종조부(從祖父)인 익장공(翼莊公) 고형산(髙荊山)은 중종 때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호조·병조 외 6조판서와 우찬성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한 인물이었다. 영월 화전군파 입성조인 그의 부친 고광후(髙廣後)는 서종형제(庶從兄弟)가 역모에 연루되자 가족과 함께 횡성을 떠나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로 이주하였다. 1592년 왜란이 일어나자 고종원(髙宗遠)·고종경(髙宗慶) 형제는 창의격문(倡義檄文)을 짓고 통문(通文)을 돌려 무기와 군량미를 준비하여 ‘영월임진의병(寧越壬辰義兵)’을 창의하였다. 의병들은 학식과 지혜를 겸비하고 문무(文武)가 출중한 고종경을 ‘의병 창의대장(義兵倡義大將)’으로 추대하였다. 이 때 강원도 관찰사 유영길(柳永吉)이 고종경을 불러, 관군 500명을 원주 흥원진(興原陣)으로 인솔하게 하였다. 전쟁을 두려워한 군졸들이 어두운 밤을 틈타 도망하자, 이를 추포하느라 약속한 날짜를 지키지 못했다. 강원도 관찰사는 지휘책임을 물어 고종경을 영월관아로 압송하여 처형하였다. 1592년 8월 17일 왜장 ‘모리 요시나리(毛利吉成)’가 영월로 쳐들어와 약탈과 살육을 일삼았다. 고종원은 가족들과 강 건너 노리곡 동굴(고씨굴)에서 피난 중 왜적들에게 포로가 되었다. 부인은 참봉 조빈(曺彬)의 딸로 왜적들에게 몸을 더럽히지 않으려고 고씨굴에서 자결하였다. 8월 19일 고종원·고종길 형제는 평창군수 권두문(權斗文)과 함께 영월 봉서루(鳳棲樓)에 갇혔다. 이후 주천 빙허루(憑虛樓)를 거쳐 원주관아로 끌려가서 감금되었다. 포로가 된 평창군수와 종원·종길 형제는 1592년 9월 2일 천둥과 폭우가 쏟아지는 날 원주관아를 탈출했으나, 동생 종길(宗吉)은 원주 단구역(丹邱驛)에서 왜적들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영월 임진의병의 역사는 400여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아직도 이곳 진별리에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에 구국(救國)의 일념으로 평생을 살다 간 고종경 의병장 형제의 충절과 항일의병의 역사를 기리기 위해, 오늘 영월군민의 뜻을 모아 빗돌을 세운다. 2019년 8월 15일
영 월 문 화 원 이 글은 고종원의 「기천록(祈天錄)」과 권두문 평창군수의 「호구록(虎口錄)」을 바탕으로 하였다. 세움 : 영월군수 최 명 서 영월군의장 윤 길 로 영월문화원장 엄 흥 용 도움 : 제주 고씨 영월종문회장 고 진 국 빗돌 글 엄흥용, 빗돌 글씨 김태숙, 조각 김병철 -------------------------------------------------------------- <虎口錄> 7장 南川 權斗文
萬歷 壬辰 8월 19일 낮에 영월 선비 고종원, 종길 두 형제가 잡혀 왔다. 먼저 내 앞에 와서 눈물을 흘리면서 "공께서 어쩌다 그렇게 되셨소? " 한다. 나는 "평생에 악을 쌓은 게 많아서 부자와 함께 호랑이 굴에 들어왔으며 늙으신 아버지께선 올해 연세가 71세인데, 난리 통에 쫒기어 어디 계신 줄도 모르니 나는 속히 죽원이나 그렇게는 되어지지 않고 적의 칼날이 내 머리로 떨어질때 강녀가 몸으로 나를 덮어 나는 살고 그녀는 죽고 여기에 잡혀 온 후에는 내 아들 주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오늘까지 나를 죽이지 않았으나 내일 어떻게 될지 나도 잘 모르겠소"라고 했다. 고(高) 군이 이르되 "소무나 문산 같은 분이 다 악을 쌓아서 그리된 것이 아니라 다 운명이로소이다" 공의 처지도 저와 비슷합니다. 저도 팔십 노부가 난리에 쫒기어 방금 산곡에 계시고 아우 종경이가 의병을 불러 모으다 비명에 죽고 내 처는 나를 살리려다 암굴에서 죽었으니 처지가 어찌 그리도 흡사합니까??"한다. 나는 말했다. " 영재(令第) 종경이의 죽음을 샐각한다면 슬프기 한이 없고, 지금 생각하면 나의 과실이 적지 않다"하니 고 군의 말이 "내 동생의 죽음은 비록 애매하다고는 하나 본 읍(本邑)에서 구명( 求命)의 첩(牒)이 영문( 營門)에 도착하기 바로 직전에 이미 형이 집행되었다고 하니 이 어찌 운명이라고 아니할 수 있으며, 공의 과실이라고 탓 하겠습니까? 한다. 고종원은 횡성 세족(世族 )으로 영월로 이거해 살다가 왜변이 났다는 말을 듣고 그의 아우 종경이가 고향 마을에 통고해서 병사를 모으니 온 마을이 모두 종경이의 문무재주를 추앙해서 그를 우두머리로 삼아 의병에 참가하니 그의 향병(鄕兵)이 수백 명이라, 장차 홍천과 영춘 사이의 험한 곳을 거점으로 하여 왜군의 진로를 차단할 준비를 하고 있슬 때였는데 도백이(지금의 도지사)가 찾아와 종경이의 의(義)가 가상타고 격려하며, 당시 흥원진(興原陳)이 약하다고 종경이가 모은 영군(營軍) 500명으로 흥원진을 도우라고 지시하고, 이 뜻을 흥원진에 알렸건만 영군이 중도에서 흩어지는 바람에 때를 놓치게 되었다. 흥원진장(興原陳將)이 이를 도 영문(道營門)에게 보고하니 영문에서는 종경이 군율을 범하였다고 체포하여 내가 근무한 평창으로 이송하여 그를 행형(行刑)토록 지시했다. 종경이 처음에는 구국일념으로 모병을 한 공과 의가 있다해도, 영문절제(營門節制)에 부진망진(赴陳亡陳)하여 때를 놓쳤으니 사형을 집행하라는 상부의 명이었다. 그때 마침 나도 관직을 겸하게 되어 군(郡)에 당도해 보니 평창 읍내 많은 사람들이 군청 뜰에 가득 모여 진정과 호소를 하는데 종경이는 가상한 의는 있슬지언정 죽일 죄는 없다고 하며, 영진(營陳)이란 것이 군진(軍陳)과는 달라 오늘 모였다가 내일 흩어진다 해도 종경이 사율(師律) 이 엄하지 못해 그런 것도 아니고 군(軍)의 신망을 잃어서 그런것도 아니며, 종경의 재주와 혈기는 가히 한 구석을 막을 수 있는 인물이 아니라 나라가 위급할 때 죄 없는 의사를 죽인다면 원통하고 아깝다고들 하였다. 그때 마침 한양에서 평창으로 피난을 온 한산군 이축과 前 부사 윤면, 선전관 신경등, 교관 홍재식이 앉아서 말하기를 " 이 사람이 먼저 창의( 倡義)를 했으나 가위(可謂) 쓸만한 인물이니 석방을 하여 국가에 이롭게 함이 옳다" 하니 나도 이 뜻을 위에다 보고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그 후에도 오래도록 상부의 회신이 없어 수령의 도리로 윗 사람의 명을 어기며 오래토록 기다릴 수 없어 애석하긴 했지만 그의 형을 집행하였다. 그러나 사형을 집행한지 얼마 않되어 도백으로부터 종경에 대한 형을 정지하고 무죄 석방하라는 첩문(牒文)이 왔으니 놀랍고 아깝기 짝이 없었다. 내가 "애매하다" 한 점이 바로 이런 뜻이다 . 고 군이 내 아들 주를 보며 한숨 지우며 하는 말이, "충효의 가문에는 기가 반드시 통할 것이니 하늘이 반드시 도울 것이며 왜들도 해하지 못할 것이다""한다. 나도 대꾸하여, " 고 형(高兄)도 역시 이 나라 사직에 은혜가 있고 의병을 도우다가 이루지 못한 한을 안고 죽은 동생의 의가 형제간에 서로 통할 것이니 하늘이 만약 우리 부자를 도우신다면, 고 형 형제분들도 꼭 도우실 것입니다""하고 서로 위로하다 보니 어느새 밤이 깊어갔다. 나의 증조부 익장공(翼蔣公)을 생각하면 삼도(三道)의 감찰사(監察使)로 그 이름이 방방곡곡에 진동하여 왜구들이 스스로 겁을 먹고 접근하지 않아 임금께서도 교지로 지용(智勇)을 겸비한 인물이라고 칭찬하셨는데 이제 그 자손이 오히려 왜노(倭奴)에게 잡혀와서 땀을 흘리니 참으로 한심하기 짝이 없다"하며 흐느껴 우는지라. 무슨말로 어떻게 위무를 해야 할줄 몰랐다. [출처]후세백작의 지평. http://blog.daum.net/kkks1/376 |
*************************************************** <지난 8,14일 고씨동굴 공원내 의병장 고종경창의 비 제막을 하였다> 엄흥용 영월 문화원장님의 사료에 의한 고씨동굴의 역사 정립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군수님 이하 모든 영월분들의 손을 모아 충절의 고장 영월에서 고씨동굴 공원 일원에 ‘임진의병장 고종경 창의비’ 제막한 것에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이로서 먼 미래에도 영월에는 목숨을 받쳐 구국의 길에선 의병장 고종경의 슬프고도 아름다운 역사 이야기로 모든 분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기도 합니다. 이제 보잘것 없는 후세의 한줄의 글에 의해서 고씨동굴의 역사 이야기를 구체화시켰슴은 물론이거니와 저의 13대 조 "고종경 어른"을 업적에 맞는 의병장 대열에 추서됨을 계기로 영월 고씨의 위상의 자리매김도, 영월의 의병사의 새로운 역사의 가치 인식에도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다. 역사가 전하는 먼 후일에까지도 저의 13대조 고종경 어른은 의병장으로서 충정에 감사드립니다. |
*****************************************************************************
(임진왜란 당시 고씨동굴과 미완의 의병장 고종경 형행사건
'평창의 임진왜란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월, 고씨굴이라 전해지는 슬픈 역사 이야기> (0) | 2019.09.19 |
---|---|
영월문화원의 고종경 창의비에 대한 문의에 답을 드립니다. (0) | 2019.08.30 |
(임진왜란 당시 고씨동굴과 미완의 의병장 고종경 형행사건) (0) | 2016.06.03 |
2015 나의 가을 사색 ( 평창의 임진왜란사 중에서,,) (0) | 2015.09.29 |
임진왜란시 평창전사(戰史) (0) | 2014.10.11 |
강절부(강소사)님 이야기 (0) | 2014.10.06 |
[스크랩] 이 마음 알아주셨으면.... (0) | 2009.09.14 |
*** [ 임진왜란 왜구와 대항하여 싸운 평창 군민들의 함성]**** (0) | 200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