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창의 임진왜란사

강절부(강소사)님 이야기

  • 후세백작 2014.10.01 01:03

  • 후배님이 오셨구료,,,지난번 후배님들과의 산행은 재미있었습니다. 그리고 후배님은 鷹岩(매응,바위암)리 출신 아마 4년

  • 후배이죠??

  • 그날  언 후배왈 매화의 뜻을 아십니까?? 하고 묻길래 나는 농담으로 저는 평창에 남쪽 지방으로 가장 먼저 매화꽃이 만발하는

    이름없는 산촌이예요. 그리고 먼 옛날 당시로는 제 또래 처녀가 네명 있었구요라며 답을 하였다..

    그랬더니, 그 후배 왈 그건 오답이란 뜻으로 웃으면서 420년전 이 응암리는 매의 화를 입어 매화라 한다.


    임진왜란 때 평창의 관,민은 왜구에 대항하여 항전하다 이 응암절벽의 민굴,관굴의 외대, 월대에 피신하여 왜구들에 발각되어

    군수는 포로로 잡혀가고 그의 부인은 지조를 위해 푸른 강물에 투신 자살한다.

    그래서 적장은 전투를 잠시 중지하고 비록 적진이지만 이러한 절개를 감탄하며, 시신을 건져 묻고 예를 표한 다음에 전쟁을

    계속 하였다는 아름다우나 슬픈 이야기가 전해진다.

    ( 이 기록은 당시 평창군수 남천 권두문의 임진왜란 당시에 평창군수로서 겪은 "호구록"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임란 때 적장을 끼고 낙화암에 다이빙한 논개의 이야기는 잘 알지만 이 이야기는 생소하리라.

    그러나, 임란사엔 영월의 고씨동굴이 발각되어 의병을 주도하던 고씨 형제가 체포되며, 고종원의 처 조씨부인이 동굴내 물에

    투신, 자결하여 지조를 지킨 이야기와 낙화암보다 더 까 파랗고 더 푸르게 깊은 응암굴에서 강절부(강소사)님의 투신의 슬픈

    이야기는 오늘도 전해져 오고 있다.

     

    평창사람들은 강절부님을 권 군수의 후실부인이라 격을 낮추고 또한 강소사란 이름을 부르나 당시 조선시대의 후실부인은

    지금의 후실이라는 명분과는 사뭇 다른 점이다.

    물론, 서른 두살의 강소사 부인은 젋었다고 색안경을 끼고 바라볼 수 있으나 당시 본 부인은 군수의 고향인 영주에서 노환의

    노모를 봉양하느라 따라 움직일 수 없었으며 후실 부인은 지금과 같은 위치는 아닌 것이다.

     

    그리고, 권 군수의 아들 "주"도 아버님을 도와 평창에 기거하다 함께 포로가 되었다.

    이 당시 문화에선 이율곡 형제들도 아버지 이원수 공의 판운수운 시절 아버지 배에 같이 승선하여 다니며 아버지 일을 보좌하는

    것을 볼 수 있다(나의 글,,율곡의 고향은 평창입니다에 자세한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평창 사람들은 지금 강소사라 불리지만 기실 광해군은 그의 순절의 인품에 "절부"라고 추승하였다. 그러기에 강소사라

    부르는 것보다 임금님이 내려준 휘호의 강절부님 이라야 예의 표시에 합당한 존어이다.

    (광해군 4년에 경상감사의 상소로 절부(節婦)로 추승 어 그의 고향인 영주시 구성공원내에 정려각이 세워졌다.)

     

    아래의 시는 ,,,

    저는 시인은 못 됩니다만  일전 저의 글에 삽화 처리정도의 자작시인...

     

    !!!!!!!!!!!!!!!!!!!!!!!!!!!!!!!!!!!!!!!!!!!!!!!!!!!!!!!!!!!!!!!!

     

    "" 강절부 님이시여....'"

     

                         후세백작

    님은 꽃다운 청춘에....

    못다핀 꽃 한송이련가??

     

    낙화암보다 더 푸른물에

    한줄기 연꽃으로 피어남을

    후대인들은

    뉘라서

    그 꽃의 아름다움을 모르리요.

     

    님의 연닢은

    절개산 아래 감아도는 사천강에서

    언제라도 다시 맺을 꽃봉우리로

    우리는

    기다리고 있답니다.

     

    !!!!!!!!!!!!!!!!!!!!!!!!!!!!!!!!!!!!!!!!!!!!!!!!!!!!!!!!!!!!!!!!!!!! 

    * 사천강은 지금의 평창강 입니다.

     

    응암리 강절부님의 투신 현장엔 한국인보다 일본 관광객들이 단체로 찾아오곤 한답니다.
    아무리 전쟁 속에서도 강절부님의 투신에 조선에 이런 여인이 있다고 감탄하며 전투를 중지하고 예를 지내주는 적군이기 
    이전에 인류애의 아름다운 미덕은 아마 일본에선 크게 귀감으로 알려진 듯한데 이 소식을 들은 권두문 군수 12대 직계종손의
    (고) 권태하 님은 일본의 친구 역사가에게 부탁하여 고니시 유키가와(소서행정)의  문중 역사서를 찾아 당시 이 강절부님의
    기록을 찾아 본다 하였는데 아쉽게도 지난해 5월에 타계하시어,,(그분은 명동성당 장로님으로,,,)
    아마, 이 이야기는 4번대 시미즈 번주나 4번대 총사령관인 모리 요시나리 다이묘의 역사 속에서 찾아보아야 할 듯.

     

    우리는 조그만 동네 어귀에도 비각들이 있다. 하물며 이러한 역사의 현장에 충절을 지킨 한 여인의 슬픔을 기리는 비각 하나
    있는가 ?? 일전, 강소사 무덤의 위치를 확인코자하는 평창분들의 노력도 있었고 천동에서는 강소사의 진혼제도 드린 바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응암리를 매화란 지명으로 사용하곤 하는데...


    매화는 평창의 남쪽 봄이 먼저 찾아오는 따뜻한 마을로 매화꽃 만발하는 동리라는 것은 사실이 아닌 것이며, 또한 임란당시
    외대와 월대굴에 교신을 하던 매가 발각되어 매의 화를 입었다는 이야기도 와전된 오류의 이야기 입니다.

    물론 매禍라는 설에서 본다면 권두문 군수의 8월 10일 호구록 기록엔 品官 지대성이 매를 기르고 있었는데, 매의 화를

    입은것은 아니란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http://blog.daum.net/selamatdatang/13215921
    (위의 주소는 권두문 군수의 13대 직계 종손 (故)권태하님이 한학을 하시는 집안 어르신 분의 도움으로 호구록을 한글로 번역하여
    그의 블로그에 올린 호구록 원본입니다)

     

    위 호구록을 보면 왕세자를 잡으로 함경도에 갔다가 내려오는 길이라는것과,동강이란 오류도 있지만 왜군은 우리가

     막연하게 생각하는 대관령을 넘어 후평쪽에서 들어왔다는 설은 오류이고 정선에서 넘어왔다는 자세한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당시 노산에서 방어하다 정동굴로 피신간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정동굴에 軍旗와 石車를 준비하고 있었던

    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지대성은 왜구들에게 화살을 먼저 날리어 피난하고 있던 정동굴이 노출되었고, 이때 왜군은 지대성에게 매를

    달라고 하니 권군수는 날려보내라 명하여 매를 날려보냈지 매때문에 화를 입는것은 아닌 자세한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임란당시의 평창전사"라는 저의 글에는 당시 평창전사의 역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우리네 역사속의 옛 지명들은 대부분 산세나 형상에 의하여 풍수적인 의미의 단어로 표시되는데..
    어느 풍수가가 이 응암리를 돌아보면, 특히 외대나 월대에서 내려본다면 절벽아래 강물은 반 원형으로 굽어 돌아간

    지역으로, 만개한 梅花란 의미로 이곳 응암을 매화라고 풍수상으로 형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응암리 강절부님의 투신 현장엔 한국인보다 일본 관광객들이 단체로 찾아오곤 한답니다.

     

    아무리 전쟁 속에서도 강절부님의 투신에 조선에 이런 여인이 있다고 감탄하며 전투를 중지하고 예를 지내주는 적군이기 

    이전에 인류애의 아름다운 미덕은 아마 일본에선 크게 귀감으로 알려진 듯한데, 이 소식을 들은 권두문 군수 12대

    직계종손의 (고) 권태하 님은 일본의 친구 역사가에게 부탁하여 고니시 유키가와(소서행정)의  문중 역사서를 찾아 당시

    이 강절부님의 기록을 찾아 본다 하였는데 아쉽게도 지난해 5월에 타계하시어,,(그분은 명동성당 장로님으로,,,)

    아마, 이 이야기는 4번대 시미즈 번주나 4번대 총사령관인 모리 요시나리 다이묘의 역사 속에서 찾아보아야 할 듯.

     

    우리는 조그만 동네 어귀에도 비각들이 있다. 하물며 이러한 역사의 현장에 충절을 지킨 한 여인의 슬픔을 기리는 비각 하나

    있는가 ?? 일전, 강소사 무덤의 위치를 확인코자하는 평창분들의 노력도 있었고 천동에서는 강소사의 진혼제도 드린 바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응암리를 매화란 지명으로 사용하곤 하는데...

    매화는 평창의 남쪽 봄이 먼저 찾아오는 따뜻한 마을로 매화꽃 만발하는 동리라는 것은 사실이 아닌 것이며, 또한 임란당시

    외대와 월대굴에 교신을 하던 매가 발각되어 매의 화를 입었다는 이야기도 와전된 오류의 이야기 입니다.

    물론 매禍라는 설에서 본다면 권두문 군수의 8월 10일 호구록 기록엔 品官 지대성이 매를 기르고 있었는데, 매의 화를 입은것은

    아니란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http://blog.daum.net/selamatdatang/13215921

    (위의 주소는 권두문 군수의 13대 직계 종손 (故)권태하님이 한학을 하시는 집안 어르신 분의 도움으로 호구록을 한글로 번역하여

    그의 블로그에 올린 호구록 원본입니다)


    위 호구록을 보면 동강이란 오류도 있지만 왜군은 우리가 막연하게 생각하는 대관령을 넘어 후평쪽에서 들어왔다는 설은

    오류이고 정선에서 넘어왔다는 자세한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당시 노산에서 방어하다 정동굴로 피신간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정동굴에 軍旗와 石車를 준비하고 있었던 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지대성은 왜구들에게 화살을 먼저 날리어 피난하고 있던 정동굴이 노출되었고, 이때 왜군은 지대성에게 매를 달라고

    하니 권군수는 날려보내라 명하여 매를 날려보냈던 자세한 기록이 있습니다.

    ("임란당시의 평창전사"라는 글에는 당시 평창전사의 가장 바른 이해의 역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우리네 역사속의 옛 지명들은 대부분 산세나 형상에 의하여 풍수적인 의미의 단어로 표시되는데..

    어느 풍수가가 이 응암리를 돌아보면, 특히 외대나 월대에서 내려본다면 절벽아래 강물은 반 원형으로 굽어 돌아간 지역으로,

    만개한 梅花란 의미로 이곳 응암을 매화라고 풍수상으로 형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