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사(水多寺) 지명의 어원적 의미 고찰
평창역사연구자 高 柱 浩
월정사 아래로 흐르는 오대천에 따라 12km쯤 아래에 위치한 수항리사지는 절터를 둘러싸고 물이 굽어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물[水]의 목[項]이라고 한글학회의 지명총람 2 (508쪽, 1967)에 서술되어 있다.
동 절터는 평창군 진부면 수항리 143번지에 소재하는 강원도 기념물 제 49호의『평창 수항리사지(平昌 水項里寺址)』로 현재 일부 결손되고 두 기의 옥개석으로만 된 탑이 남아있다.
이곳은 오랫동안 "수항리사지"의 절터로만 알려지다가 1983년 水多란 명문기와의 와편이 출토됨에 이곳이 수다사지임이 알게 되었고,, 또한 “태백곡 수다사”(太伯谷 水多寺)란 명문이 쓰여진 청동촛대를 발견함으로써 이곳이 수다사지임을 재확인하였다.
삼국유사의 제 4권의 전설편에 자장정률(慈藏定律)편에서 “말년에 자장은 서울(경주)를 하직하고 강릉군에 수다사(水多寺)를 세우고 그곳에 거처하고 있었다”라고 있다. 그런데 수다사는 명주군의 등명락가사로 알려져 왔었으나 근자에 들어와 동 사원지에서 위 두 개의 와편과 청동촛대의 역사적 사료들이 발견됨으로 이곳 수항리사지가 삼국유사 자장정률조편에 기록된 자장율사의 말년의 거처라는 수다사임이 확인되었다.
◀ <수항리사지「ㅇ多寺」의 출토 명문기와> ▶청동촛대부속구 (평창 수다사지 금속 공예품) <자료제공;국립춘천박물관>
위 두 사료는 수다사임을 밝히는 중요한 사료이지만 유동성을 가지는 사안이다. 이어서 필자가 밝히는 세 번째 사료는 고지도에 의한 사료로서 이곳과는 뗄 수 없는 지명으로 부동의 사안이다. 이제 이를 통하여 현재의 폐사원지“수항리 사지”는 삼국유사에 기록된“수다사”임이 명료하게 확인된 것이다.
◈ 수다사로 표기된 고지도의 발표
1) 수다사의 문헌기록
◈ 세종지리지 강원도(江原道)편에서 부분발췌
<세종지리지/강원도>
금장강(錦障江)은 그 근원이 오대산동(五臺山洞) 금강연(金剛淵)에서 시작하여 진부역(珍富驛) 수다사골[水多寺洞]을 지나 정선군(旌善郡)에 이르러 광탄(廣灘)이 되고, 고을 남쪽에 이르러 대음강(大陰江)에 들어가 두 물이 합하여, 흘러서 가탄(加灘)에 들어가고, 평창군(平昌郡) 동쪽에 이르러 연화진(淵火津)이 되며, 영월군(寧越郡) 동쪽에 이르러 금장강이 된다.
----------------
<원문> 錦障江, 其源出自五臺山洞、金剛淵, 經流珍富驛、水多寺洞, 至旌善郡北爲廣灘, 至郡南入于大陰江。二水合流, 入于加灘, 至平昌郡東爲淵火津, 至寧越郡東爲錦障江。
-----------------
1,500~1600년 경의 세종지리지에서 "진부역 수다사 골"의 표현기록이 있다.
필자는 일전 고지도 강릉부 편에서“수항리사지”가“수다사”라고 표기된 고지도 4편을 찾아서 발표하였습니다.
해동지도, 여지도, 광여도, 지승의 4개의 지도에 구한말 지도 강릉부 편에서 청삼대 아래에 이곳의 지명의 수다(水多)라고 표기되어 있음을 밝혔습니다
2) 고지도의 기록
*해동지도 – 작자미상의 1750년대 초의 지도, 보물 제 1591호
*여지도- 18세기 지도,보물 1592호
*지승 – 군사요지와 전국 군현을 그린 회화식 지도책.1778년 이후로 추정.
*광여도 – 1800년대로 추정
현재의 이곳 지명인 수항리는 고지도에서 수다(水多)라는 지명으로 명기되며 있는 바 이로써 삼국유사의 자장정율조편에서 자장이 말년에 명주군 수다사에서 거처하였다는 기록은 현 평창군 진부면 수항리인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수항리는 과거에는 명주군이었으며 자장율사(590~658)는 1,400여 년전 인물로 당시에도 이곳 지명은 수다(水多)였음을 볼 수 있기에 천년이 넘게 수다(水多)라 불리던 지명이 구한말을 지나 일제 강점시에 우리나라 지역 이름이 개편되는 경향에 따라 이곳 마을 이름도 수다(水多)에서 수항리로 개편된 것으로 보인다.
수다(水多)라 함의 어원적 의미로는 물이 많은 지역임을 알 수 있듯이 수항리 골은 오대산 비로봉에서부터 정선 나전까지에 이르는 산간에 높은 산이 드리우고 있기에 깊은 골짜기를 형성하고 있는데, 수항리 일대에는 가리왕산에서부터 시작하여 해발 천여 m가 넘는 산이 다섯개 넘짓 솟아있다.
그중 수다(수항리)지역에 다다러서는 양쪽으로 잠두산과 건너편의 두타산의 거리가 기까워져있기에 폭이 좁아진 목(目)을 형성하기에 수항천 골을 따라 오대산 비로봉으로 북상하던 구름은 그 부피가 클수록 무거워져 산을 넘지 못하고 산허리에 걸려서 비를 뿌리는 상습적 폭우지역이기에 옛날에도 이러한 의미로 水多란 지명을 쓴 듯 합니다. (물이 굽어 수항이라 한 것은 산이 굽었기에 물이 굽어 도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항리에 현 사원지(寺院址)로만 남아있는 수항리사지는 옛 표기로는 수다사로서 이곳이 자장율사의 말년의 수도처로서 이곳은 지리적으로 오대산 불교권과 인접하여 있기에 오대산 불교권의 문수신앙 성지는 바로 이곳에서 출발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자장율사는 선덕여왕 당시 당나라를 유학하고 돌아와 대국통(大國統)으로 어려운 국난을 극복하고 호국정신과 삼국통일의 염원을 기원하여 황룡사 9층탑을 창건하는등 이 시기는 신라가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루려는 시기로 자장의 공헌도 컸다한다. 자장율사는 전국에 가장많은 10개의 사찰을 창건한 인물로 선덕여왕 이후 말년에는 종파적인 길등으로 인하여 신라의 변방인 이곳 수항리 계곡으로 찾아들게 되었다. 이로서 삼국유사 자장정률조 편에는 자장은 말년에 명주군 수다사에 거처하였다고 표현되어 있는 바 이곳이 자징율사의 말년의 수도처 “태백곡 수다사”였다는 점이다.
자징율사에게 가장 중요한 이야기는 오대산은 문수보살의 상주도량(常住道場)으로“화엄경‘에 따르면 중국에만 있는 것으로 된 오대산이 신라에도 있으며, 문수진산(文殊眞身)과 5만여 불보살이 머무르고 있다는 신앙을 전하였던 것이다. 자장의 문수신앙 성지로 알려진 오대산은 자장이 수다사에 거쳐하면서 대송정(오대산)은 딱 한번 열흘정도 다녀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오대산 불교권에는 자장율사에 대한 역사기록은 하나도 없다.
그러기에 수항리의 수다사는 오대산 불교권에 문수신앙의 성지로써 발돋움하는 것에 대한 자장율사에 대한 단 한점의 역사적 증거사료로서도 매우 중요한 점이다.
또한 수다사를 거쳐간 여러 고승 중에는 고려시대때 국사와 왕사를 추대받은 지광국사 혜린등이 있으며 강릉의 사굴산문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조선시대에는 억불정책임에도 오대산은 전국 불교의 중추적 모습도 보이고 있다.
현재의 수항리사지는 이러한 수다사의 자장율사가 지향했던 문수신앙의 오대산 불교권에 역할론으로서 중요한 역사를 인식해볼 때 현 “수항리사지”는 이제라도 제 모습의 “수다사”로 개명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2년전 유흥준의『산사』기행 책에서도 수다사지로 나오고 있듯이 이제는 수다사지로 널리 알려졌지만 현재의 법정명은 “수항리사지”이기에 그 이름이 수다사지로 개정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이러한 문화재 이름 정정에는 개인으로서는 그 자격이 주어지지 않으며 지방(평창)의 역사단체인 평창문화원이나 조계종 4교구인 월정사가 군 의회에 문화재 명칭 개정신청을 출원하여 승인이 되면 도(道) 의회에서도 똑같은 방법으로 승인되어서 문화재청의 심의를 받는 사항이기에 이에 수다사지 명칭 개명에는 여러 유관단체는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수다사지(水多寺地) 현안 정비문제
현재의 수항리사지는 약 1만여 평의 개인의 사유지에 있으며 1982년의 보고기록에는 법당이 약 90여평의 주초석이 남아있었는데 동 사지는 현재는 경작지로서 사용되기에 주초석은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이 사라져 버렸고 시굴작업도 없이 많은 유물들이 방치되다가 유실되었다.
수항리사지는 현재로서는 강원도 기념물 제 49호이기에 문화재로서 정부는 토지를 매입하여야 하지만 1만여평의 토지를 모두 사지로 결정하였기에 이에 수급예산의 막대하여 어려움도 따를 것이다. 그러면서도 지난 2013년 평창군과 월정사가 주관한“수다사지 활용방안‘의 세미나에서는 정비계획으로 중앙 승가대의 최태선 교수는 사원지를 좀 더 많이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필자로서는 그것보다는 예산적인 문제로 사원지를 축소하여 빨리 매입이 되고 주초석도 찾아서 사원지로 정비되어야 좋을 듯 하다는 견해입니다.
동 세미나는 무려 열한 명이상의 학자들이 평창예술회관에서 다섯파트로 세미나의 연구발표 하였건만 평창에서의 모든 세미나가 그러하듯 지금까지 현상적으로 변한 것은 하나도 없다. 세미나는 이론의 형식적 연구가 아니라 실질적 액션을 가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함일텐데, 아직 수항리사지는 한 점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세미나 기록 중에 현 옥개석 2기만 남아있는 3층 석탑의 리포트는 리포트 자체에 많은 문제를 가진바 필자는 “수항리사지 탑의 원형을 찾아서”라는 논문을 전국문화원 연합회 공모전에 출품하여 국사편찬위원장 상을 받았는데, 이것은 학자도 아닌 개인으로서 논문의 타당성의 검증일테지만 필자의 논문은 석탑에대한 조형론의 공식을 만들어 본 탑이 3층탑임을 확인하며 동 탑에 문제로는 2중 기단석에대한 갑석의 문제로 동 탑은 소문대로 6,25동란때 파괴된 것이 아니라 ‘70년대에 도괴되어 밀 반출되었다가 돌아와 다시 쌓아 올란 탑으로 이때 크기순으로 잘못 축조시켜서 『정형탑』이라 불리는 3층 석탑의 기준에 맞지도 않는 축조 조상의 오류를 가지는데 강원대 박물관 등 3곳의 학술처나 학자들은 의문만 품었지 잘못 조적된 점을 알지 못하였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 필자는 논문에서 이중 기단석의 문제임을 논하며 또한 3개의 사잇돌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 물론 1, 2층 기단석 사이에 갑석과 받침석이 조성되는바 2개의 면석으로서는 갑석의 제기능을 구실 하지만 면석이 3개가 끼워져 있으면 갑석의 기능면 문제로 제 구실을 하지못하기에 이를 갑석이라 하지 못하고 사잇돌이라 표현하였다.)
우리나라의 약 410여개의 국보 중 석탑은 28개로 국보중에 한 종목으로는 최대로 많은 국보로서의 값진 보물이다. 하지만 작은 단층 건물을 지어도 설계도면이 있어야 허가해 주지만 국보인 석탑에 별도의 제원산출은 마련치 못하는 듯하기에 현 수항리사지의 2층 옥개석의 단순한 탑이지만 동 탑은 조성양식에 위배되는 줄도 모르는 학계, 이제라도 필자의 논문을 집중 토의하여 탑의 조형론을 인식하여야 하며 이로써 문제를 가지는 수항리사지 탑을 올바른 탑으로 개축하여야 할 것이다.
수항리사지는 언제까지 방치되어야 할지 그 답은 알 수 없지만, 이제라도 단 한 점의 수다사지로 개명을 하고 또한 주초석과 파손되어 결구되지 못한 2층 옥개석의 원 모습대로의 탑이 있는 사원지로 거듭나서 하루라도 계(戒)를 지키지 아니하고서는 살 수 없다는 계율종의 자장율사의 원대한 뜻인 호국정신과 삼국통일의 염원에서 당시 어려운 국난극복을 하고자 함이었다.
이제 우리는 자장율사의 뜻이 불교적 관점을 넘어서서 국가적 차원으로 이 시대의 국난극복과 통일 염원의 거울로서, 지표로서 거듭나야 할 것이며 또한 불교사적인 의의를 넘어서서 평창의 역사 문화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감사합니다.
'수항리(수다)사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다사(水多寺) 지명의 기록과 어원적 의미의 고찰 (0) | 2020.06.26 |
---|---|
수항리사지 논문 解除 (0) | 2019.01.14 |
논문해제 ) 수항리사지 탑의 제반 설명 (0) | 2018.12.06 |
(1) 수항리 사지탑 논문에 대한 항변 (0) | 2018.11.09 |
(2) 수항리사지 탑의 원형을 찾아서 (0) | 2018.11.08 |
(3) 수항리사지 탑의 원형을 찾아서(별지 부록 4) 수다사지 탑의 위기 (0) | 2018.11.08 |
1] 수다사지 석탑의 서문 (수다사지 탑의 원형을 찾아서) (0) | 2018.01.01 |
수다사지에 한점의 의문의 답 (0) | 2017.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