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실법이란 무슨 의미인지?? ] |
---|
08.10.05 18:45
요즘 싸이버 악성 댓글로 국회서 요란한것 같다. 댓글의 실명제와 표현의 자유가 맛선 씨름인데....
우선 실명제라면 그게 그렇게 가능할까?? 대포 아디도 생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컴 생태상 실명제는 가능하지 않다. 다만 100 % 추적 조회만 가능할뿐 아닌가?? 또한 표현의 자유란 한마디로 규정하긴 어렵다. 이 카페 초기에 내가 썼던 글에서 플라톤의 국가론 10편에서 키케로는 웅변은 선동한다 ....라는 글에 의해 중세는 천년간 암흑기로 접어들었다.
분명 표현의 자유는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적법성과 타당성을 수반해야 할것 아닌지?? 그렇타면 상대적 언론은 양 쪽의 관점에서 틀려지는 것이다. 이것을 어떤 규정으로 구분할수 있는가??
오늘 어느 신문에서 간단히 본 사설에 의하면...역지사지란?? 전직 노통이 북한의 입장을 생각해보고 대체하자는 발언에 어느 일간지 김대중 논설위원 생각을 쓴 글인데, 그는 정치와 군사에선 역지사지가 필요없다고 썻다. 예를 든것은 독도를 일본인이 생각하는것을 우리가 생각하고 대처하자면 모순이란다.
그것은 그냥 주는게 낫다는 얘기가 된다는 것이라는 해석이 된다는데. 이는 대통령으로서 공인의 언어에 문제가 있지않냐는,,, 이런 예를 볼때 표현의 언어는 책임을 수반해야 되기에 선택적 또한 사고적 언어를 사용 해야 한다.
즉, 너와 나 둘의 대화도 PC 라는 매체에서는 둘의 대화가 아니다. 온 라인을 통하여 불 특정 다수인이 함께 볼수 잇는 언론이 된다. 그럼 최소한 언론법의 통제하에 있었어야 한다.
이렇듯 본인 의사와 다른, 또한 진실과 다른 악성 댓글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가?? 그에 답은 간단하게 해결할수 있다. 우린 지금 PC 대국이면서 싸이버 공간엔 마치 돗떼기 시장이라해도 자유고 질서고 무엇도 없는듯한,,,,자유는 질서를 존중해야 나타나고 질서는 오픈법이 숨어 있어야 성립 되련가??
그 예를 하나 본다면 우린 지하철 탈때 아무리 급해도 한 줄로 서서 티켓을 철꺼덩 튀 올라 와야 나갈수 있다. 그러나 독일은 팃켓을 사고도 그냥 보도 걷듯이 올라탄다. 그리고 팃켓 검 사도 없다. 여객원이 가끔 티켓제시를 요구할때 적발되면 그건 우리네 참외서리 하다 박아지 쓴것의 따따로 벌금이 적용된다.
그래서 누구나 다 팃켓을 끊고 바쁜 시간에 그냥 타는....이것이 질서속의 자유 아닌가?? 그럼 인터넷의 선진화는 우리보다 일본이 한수 위이다. 그들은 악성 댓글이 올라오면 그 당사 자가 지울수 있는 법을 사용한다. 그러면 만약 어는 처녀 유명인이 애를 낳앗다는 악성 댓글을 그 처녀는 곧 바로 지울수 있다.
여기서 만약 애를 낳앗는데도 지우면 이건 진실의 호도라는 측면에서 곧 댓글이 무지기수로 올라올것 아닌가?? 그러니 애를 않 나았을 경우에는 당연히 지울수 있다고 본다. 이 예는 진실을 구분하여주는 여론의 심판이란 의미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지금 싸이버 실명이든 악성댓글 규제이든간에.... 만약 부도덕한 행위에 에잇,,, 그런 하고 댓글 올리면 악성으로 변할 수 있는 함정을 가지고 있슬 수도 있다. 누가 그런말 하자고 실명을 사용할까?? 그러면 잘못된 상황에 추종자들만 댓글이 올라올것 인가.... 아예 댓글이 안 달린다면 컴 자체는 죽어있는 것이 된다.
그보단 일본이 사용하는 방법은 제고해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왜냐면 진실은 자신만이 알수 있는 것이기에 그의 선택적 판단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내 참 잘쓰제----- 박쑤 !!!!! 너만 안 치는구나.... ----------------------- 어느 연예인이 죽고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글을 쓴다 난 그런것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왜냐면 연예인들이 툭하면 공인이란 단어를 마니 쓰던데 그건 지 잘났다고 무식하게 쓴 표현이고 공인이란 의무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 의무는 다양하지만 우선 미국식으론 기부문화가 있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어느 연예인은 큰 부자도 아니던데, 독도는 우리땅이라고 미국 일간지에 자비로 광고를 내던 모습엔 깊은 감사를 한다.
이것이 바로 기부 문화의 공인이다. 하버드 대는 28억 달러의 기부금을 지니듯.. 갖은자의 기부 문화,,, 이것이 우리도 정착되고 사회 환원되야... 그렇치 않으면 공인이라고 헷소리 하는것같다. 어느 무식쟁이 탈랜트들이 툭하면 공인이란---- 난 그걸 무식이라고 바꿔 생각하거든...
|
'후세나리의 골똘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천지의 운명은?? (0) | 2010.07.07 |
---|---|
멀지않은 후일에 나와 친구들의 노인이 되는 사회는 어떤 사회일까?? (1) | 2010.01.29 |
우리가 먹는 식탁에 독약들은 (0) | 2009.09.01 |
[ 시나리오 102 ..... 아마 득(得) 보단 손(巽)이....] (0) | 2009.07.15 |
씨나리오 103 --- 앞으로 우리가 가야할 시간엔... (0) | 2009.07.07 |
시나리오 101,,,,,, 나에겐 득일까?? 손일까?? (0) | 2009.07.01 |
우리나라엔 세계 제일의 부자를 만들 여건이 준비가 되어있다 (0) | 2009.05.26 |
우리의 학창시절과 80 년대의 고교 평준화의 의미는?? (0) | 2009.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