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때 평창군 시내 지도
아래의 지도는 일제때 2차(1911년), 3차(1915년)의 강원도 측도시 평창군 지도를 부분 확대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중앙 박물관의 일제 박물관 문서)
<평창군 측지지도 >
(1) 평창읍 (1911년 측도)
<지도 정보>
1) 대로(大路)는 영월서 도돈-약수- 하평을 지나 평창으로 들어오는 도로는 현 읍사무소로 직선으로 꺾어 올라 곡각으로 시루목을 넘어 대화로 빠진다. 이 도로는 주진교는 없이 주나루로 강을 건너고 또한 대화 신리에서 모치 재를 넘어 강릉으로 간다. 당시 신리에서 장평- 봉평은 간선도로이다. 2) 중로(中路)천변리에서 중리로 올라가 다리를 건너 상리천 종부쪽으로 간선 도로는 미탄으로 향한다. 3) 실선은 소로(小路)를 표시함. 4) 왼쪽으로 전선이 영월서 강릉으로 넘으며 군청으로도 연결했다. 5) 시설로소는 군청, 경찰서, 우체국 그리고 천변리에 시장이 표기되어 있다. (* 필자 주: 경찰서 자리는 조선시대에는 형옥으로 알려졌는데, 당시 죄인이 많은 것도 아닐테지만 각 관아에서 수감되는 바 당시의 형옥은 구치소란 개념를 넘어 치안을 담당하는 요즘 경찰서로 이해합니다) 6) 강을 따라서 작은 원표시는 나무를 의미한다. 오면지도에서는 하평과 후평에 강을 따라 송림을 그렸다 하는데, 송림인지는 분명치 않으며 여기서는 동그라미로 활엽수를 나타내고 있다.(남산의 뾰족한 세모표시에서 보이는 기호가 침엽수이다) 7) 네모안에 사선의 지역은 관용지를 의미하는 듯하며 그 안에 가옥들은 조선 시대의 관아와 부속건물, 그리고 노비들까지의 가옥으로 추정한다.
◆ 네모의 점들은 가옥이며, 외곽 지역의 ”ㅛ“ 표시들은 당시에는 밭의 기호이다.
(2) 평창읍 (1915년 측도)
<지도 정보이해>
1) 1911년 지도에 비하여 1915년 축도에서는 학교와 면사무소가 신설되고 전 기선이 미탄으로 넘어가고 있다. 또한 천변리에서 시루목으로 이중 점선의 표시되고, 시루목 (증항)에서 천변리로 똑바로 내려오는 간선도로가 생겼다. (* 시루목을 조선 말기에 증항(甑項/ 시루증. 목항)으로 표기 하고 있다. 2) 본 지도에서는 경찰서 앞 도로쪽에 건물이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경찰서 위치는 조선시대의 형옥이 자리로서 골목 안쪽에 위치함을 추정합니다. 3) 중리에 ”文“자 표시의 학교이며, 우편국 아래에는 면사무소, 천변리에 ”市“자 모양으로 시장이 있으며, 그 위쪽에 ”Q“자 기호는 활엽수 지역으로 나타난다. 4) 상리로 가는 길은 시내 일원에서 강을 건너는 배가 있고 상리천은 다리로 건너서 가는 대로가 생겼다. 5) 평창일원에는 두 기의 탑이 표시된 바 위 문서 ”고적대장‘에 기록된 중리탑 (노암사지 석탑)과 강을 건너 상리 초입에 석탑이 표시되어 있다.(모두 다 사유지이다.) 6) 천변리 도로 옆의 사선은 석축을 표기함.
3) 주진교 일대( 2011년 측도)
◎ 주진리, 2011년 측도
위 지도의 사가 점은 가옥을 표시한 바 가옥수의 정확성을 가지는 듯 하며 바닥이 넓은 종부 다음으로 임하리, 주진리, 계장리, 다수리, 원당리에 평창에서는 가장 많은 가구 수의 분포를 보인다.
◎ 주진리, 1915년 측도
위 지도에서는 주진교가 나타난다. 콘크리트의 구) 주진교가 아니라 그 위쪽으로 설치하였고 도로도 돌아감을 볼 수 있다.
(3) 대화면 부분 발췌도
◎ 대화면, 1911년 측도
1) 조선시대 대화역의 위치인 상대화에 약 20여채의 가구가 보인다. 이 곳은 조선시대에는 대화역의 장소로 역원제는 1895년 폐지되었으나 이에 따른 가옥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강원도 보안도길에 방림역, 대화역, 진부역은 당시 강원도 역원 60여개중 제일 큰 역으로 이 점은 조선시대에 평창의 가장 큰 산업으로 역원제에 하나의 역에 관리가 40명, 노와 비가 30여명등 상당한 경제를 이루며 따라서 역원제 퍠자후에도 시장 발달을 하며 가옥도 밀집형태를 보이는듯 하다.
2) 아래의 1915년 축도지도에서는 순경 주재소와 그 아래 원 표시는 면사무소 이며 하대화 아래에 “市”자 기호는 시장이 신설되었슴을 보인다.
◎ 대화면, 1915년 측도
순사 주재소는 파출소를 뜻합니다.
(4) 진부면 지도
◎ 하진부 (1911년 축도)
◎ 하진부 (1915년 측도)
1) “O”기호는 면사무소이며 “X”기호는 파출소이다.
(5) 월정가 (1915년 측도)
(6) 봉평 지도
◎ 진부면 봉평리( 1911년 측도)
◎ 봉평 면 (1915년 측도)
1) 1915 축지지도에서는 파출소와 면 사무소가 기록되어 있다.
(7) 도암면 지도 (1915년 측도)
1) 도암면은 정선군에서 1916년 평창군으로 이관되었기에 위 지도는 정선군 에서 발췌함.
'平昌歷史 史觀定立'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스 유라시아 ( 한국어의 기원에 대하여) (0) | 2024.03.25 |
---|---|
평창의 사서인 『길위의 역사책』 분석과 재정립 (3) | 2024.03.22 |
11. 삼방산(三方山) (0) | 2023.08.25 |
《송어의 고향, 평창》 (0) | 2023.02.25 |
「강원도 고적대장」의 평창 기록 (1부) (5) | 2022.09.30 |
평창의 관문 용산정을 복원하자 (0) | 2022.09.04 |
송학루(松鶴樓)의 유래 (4) | 2022.08.30 |
송계산은 원래 이름은 여름산이다 (0) | 2022.08.26 |